후쿠시마핵사고 12주년 탈핵행진의 사전 출정식
준비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실행" 촉구
[뉴스클레임]
오는 11일은 후쿠시마 핵사고 12년이 되는 날이다. 일본에서 참사 발생하고 12년이 지났지만 오늘날까지 피해와 오염을 수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일본 정부는 올해 봄에서 여룸, 태평양에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시민환경단체들이 핵 없는 세상을 나아가기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후쿠시마 핵사고 12년 탈핵행진 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는 9일 서울 중구 서울파이낸스센터 앞에서 탈핵행동의날 집회를 열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반대한다. 안전한 세상을 위해 핵발전을 멈추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핵폐기물을 상징하는 노란 드럼통 모형을 업고 '기억하라 후쿠시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등을 우산에 적는 퍼포먼스도 진행됐다.
준비위는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 전세게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서둘렀는데, 우리나라의 정책은 이 흐름을 거스르고 있다. 신한울 3,4호기 신규 건설, 노후핵발전소 18기 수명연장, 임시 핵폐기장 건설,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지원 등이 바로 그것이다"라며 "이러한 핵발전 확대 정책은 우리 사회의 위험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 이대로 정부의 계획이 추진되면 윤석열 정부 5년 동안 무려 18기의 노후핵발전소 수명연장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핵발전 안전을 더욱 위협하게 될 것"이라며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 핵발전의 위험에 공감하고 더 이상의 비극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던 시민들은 여전히 탈핵 사회로의 이행을 바라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발언에 나선 기후정의동맹 조은혜 집행위원은 "기후위기를 넘어 기후재난의 시대임을 매일같이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제는 에너지를 단지 필요한 양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것을 넘어 모두가 함께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공공적이고 민주적, 생태적으로 에너지 체계를 전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은영 한살림 전국 환경활동회의 의장은 정부가 핵발전이 지닌 위험에도 불구하고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라는 미명하에 핵발전의 수명을 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기후위기로 인해 이상기후가 더욱 빈번해지고 있고, 핵발전소는 1980년 가동 아래 현재까지 이상기후로 33차례 가동을 멈췄다"면서 "정부는 기후위기 시대에 대안이 될 수 없는 핵발전 옹호 정책을 폐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찬휘 녹색당 대표는 "탈핵을 표방한 문재인 정부에서도 제대로 된 탈핵 정책은 없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한 술 더 떠서 핵발전을 수출 효자 상품이자 일자리 창출의 주요 수단으로 쓰겠다는 망언을 내놓고 있다"며 "폐기물 처리가 불가능한 핵발전은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