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참사 1년… 재난불평등공동행동, 재난안전 근본 대책 수립 촉구
[뉴스클레임]
반지하 폭우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다. 지난해 8월 큰 비가 쏟아져 반지하 주택이 급격히 물에 잠기는 바람에 서울 관악구 일가족 3명과 동작구의 기초생활수급자가 목숨을 잃었다.
가슴 아픈 참사는 올해 또다시 반복됐다. 최근 폭으로 충북 오송 지하차도가 침수되고, 경북과 충남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수많은 시민들이 목숨을 잃었다.
기후재난이 시민의 생명을 앗아사고 사회적 약자를 덮치고 있지만 윤석열 정부와 국회는 모두가 안전할 권리를 외면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신규 석탄 발전소를 건설하고, 오세훈 서울시장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라는 토건개발 사업에 몰두하고 있다.

김진억 민주노총 서울본부장은 2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폭우참사 1년, 서울시 반지하대책-주거정책 평가 및 재난안전 근본 대책 수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해 "국민의 안전과 생명, 행복을 추구해야 할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나. 대통령과 단체장들은 어디에 있는가"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코로나19 재난이 불평등하게 다가왔고, 기후재난이 사회적 약자를 덮쳤다. 우리의 재난도 지역만 바뀌었을 뿐 일반 서민 약자를 덮쳤다. 연이은 폭우 참사는 기후위기와 주거불평등의 심각성, 구고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은 작년에 침수가 되는 서울시를 남보듯 바라보며 퇴근했다. 올해는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재난 대응을 외면했다. 오세훈 시장은,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홍준표 대구시장도 어디에 있었는가"라고 일갈했다.
김진억 민주노총 서울본부장은 "재난참사 직후 윤석열 대통령은 정부가 가진 모든 역량을 총결집해 주거 취약계층 안전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근본적인 재난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을 했다. 지금 그 약속은 어떻게 됐나. 지켜지기는커녕 오히려 공공임대주택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며 "주거불평등 해소에서 출발하는 정의로운 전환, 재난 위험으로부터 모두가 안전할 권리를 보장받는 사회변화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영상을 클릭하면 김진억 민주노총 서울본부장의 현장 발언을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시민안전 포기한 서울시 규탄"[반지하 수해참사 1주기]
- 알바 시급도 직종 차이… 25573원 vs 9787원
- [클레임톡] 매미의 ‘5+1 덕’
- "더이상 동료를 잃고 싶지 않습니다"[생생발언]
- 주거권이 생명권인 이유[생생발언]
- 한남시범 아파트 120가구 주민들 "재건축 왜 못하게 하나"[영상]
- 대웅, 자사주·자회사 주식 매입에 200억 투입
- 1천만명의 밥줄... "최저임금 다시 논의하라"[영상]
- [실적] 우리금융, 상반기 당기순이익 1조5386억원
- 직무 복귀한 이상민… 이재명 "탄핵 기각, 면죄부 아냐"
- [반지하 수해참사 1년] ②초라한 '서울시 반지하 가구이주 지원' 성적표
- [반지하 수해참사 1년] ③ 불평등이 재난, 모두가 안전할 권리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