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파브르 곤충기’에 파브르가 ‘매미 요리’를 시식하는 장면이 나온다.
“4마리의 새끼 매미를 얻었다. 그 맛을 될수록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간단한 요리방법을 택했다. 올리브기름 4∼5방울, 소금 한 스푼, 양파 등을 약간 준비했다.… 매미튀김 맛은 새우튀김 맛과 비슷했다. 아니, 볶은 메뚜기 맛에 더 가까웠다. 무척 딱딱하고 물기가 없어서 마치 가죽 씹는 듯했다.”
이랬으니, 파브르의 입맛에 매미요리는 ‘별로’인 듯했다. 그래도 파브르는 옛날 기록까지 연구하고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에 의하면, 그리스 사람들은 매미를 아주 진귀한 요리로 여겼다. 매미는 허물을 벗기 전의 것이 맛이 특히 뛰어나다고 한다.”
네 발 달린 것이면 책상 빼고 다 먹는다는 중국 사람들도 빠질 수 없다. 중국의 옛 요리책인 ‘제민요술’에는 매미를 요리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나와 있다. 굽고, 찌고, 삶아서 먹는 방법 등이다.
중국 사람들은 매미를 요리로 즐기면서도 한편으로는 높게 평가했다. 매미의 ‘5가지 덕(五德)’이다. 매미에게 본받을 것이 있다는 것이다.
① 매미는 머리에 반문(斑紋)이 있으니 학문(文)이 있고 ② 이슬만 먹고사니 맑음(淸)이 있고 ③ 사람이 가꿔놓은 곡식이나 채소를 훔쳐 먹지 않으니 염치(廉)가 있고 ④ 다른 곤충과 달리 집을 짓고 살지 않으니 검소(儉)하고 ⑤ 자기가 사는 계절을 지키며 떠나야 할 때를 알고 있으니 신의(信)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매미는 사람이 가꾼 것을 먹지 않고 이슬만 먹는다고 했다. 그래서 사리사욕이 없다.
매미는 자기 집 따위에는 관심 없이 ‘노숙자’로 살아간다. 부동산 욕심도 없다. 집값, 전셋값 걱정도 당연히 있을 수 없다.
매미는 다른 곤충처럼 오래 살아보려고 월동을 하는 것도 아니다. 여름철에만 잠깐 살다가 서리 내리는 날 사라져버린다. 스스로 물러날 때를 알고 있는 것이다.
매미는 땅속에서 일생의 거의 전부를 산다. 종류에 따라 3∼4년, 또는 13∼17년을 땅 속에서 보낸다고 한다.
그러다가 성충이 되면 땅 밖으로 나온다. 밖으로 나오면 이미 일생을 마감할 때가 된 것이다. 늘그막을 욕심 없이 살다가 때를 맞춰 물러나는 것이 매미다.
임금은 이렇게 덕이 많은 매미의 날개를 상징하는 ‘익선관’이라는 모자를 썼다. 관리들은 ‘사모’를 썼다. 매미의 날개 모양을 본뜬 모자다.
‘극한 호우’로 혹시 여름이 실종되는 것 아닌가 싶었지만 올해도 동네 공원에서 매미 울음소리가 들리고 있다. 기상청의 장마철 종료 발표와 때를 맞춰서 울고 있다. 매미는 ‘시간관념’도 철저했다.
그런데, 매미에게는 ‘5가지 덕’ 외에 1가지를 더 추가해도 될 만했다. 길바닥에 누워 있던 개미가 그랬다.
엎드리지 않고 누웠으니 죽은 매미였다. 하지만 누워 있는 상태에서도 조금씩 움직이고 있었다. 자세히 보니, 개미떼가 달려들어 잡아끌고 있었다. 매미는 죽어서도 자신의 몸까지 남에게 주고 있었던 것이다. 어떤 못된 인간은 ‘묻지 마 흉기 난동’인데, 매미는 ‘신체 공양’이었다.
그러니 매미는 ‘5+1 덕’, ‘6가지 덕’을 갖추고 있다고 할 것이었다.
주요기사
- 현대차그룹, 국내 대학과 탄소중립 공동연구실 설립
- 롯데복지재단, 저소득층 장애 아동에 보조기기 지원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월배당 ETF 가이드북’ 발간
- 한화그룹, '납품대금 연동제 동행기업' 참여
- 삼성전자, '갤럭시 탭 S9' 시리즈 사전 판매
- 빙그레공익재단, 독립유공자 후손 장학금 수여
- 고품질 육가공 제품도 '고단백 식품'
- 남양유업 "미래 이끌어갈 새내기 응원"
- 엔씨-항공기상청, 항공기상 협력 업무협약
- 한국 전통음악의 미래 이끌 주인공은?
- KB국민카드 쿠키즈와 저스트절크의 만남
- 우리은행, 서강대와 기부문화 확산 신탁업무 협약 체결
- "현대차 당분간 박스권 등락 예상"
- "시민안전 포기한 서울시 규탄"[반지하 수해참사 1주기]
- "서울시는 주민들을 살려내라"[한남시범아파트 재건축 촉구]
- [유통家 이모저모] 동서식품 오뚜기 KGC인삼공사 外
- 코웨이 비렉스 매트리스, '방사성물질 안전성' 입증
- SPC '섹타나인', 신임 대표이사에 김대일 사업본부장
- NS홈쇼핑, 알엠텍과 수산물 방사능 안전성 강화 협약
-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막무가내 공공돌봄 중단'[돌봄노동자 파업 행진대회]
- [실적]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영업익 4606억원
- "엉터리로 결정된 최저임금 다시 논의"[2024년 적용 최저임금안 이의제기]
- [실적] 삼성전자, 2Q 영업이익 6700억원
- 이마트, KOTRA와 업무협약 체결
- KB국민은행, 청소년 성장 지원
- 3-클로로펜메트라진 등 임시마약류 지정 예고
- 애경·아모레퍼시픽, '올해의 녹색상품'
- 새마을금고, 집중호우 피해 지원 집중
- "기후재난 앞에 국가는 무엇을 했는가"[영상]
- "더이상 동료를 잃고 싶지 않습니다"[생생발언]
- [실적] 신한금융그룹, 상반기 당기순이익 2조6262억원
- 주거권이 생명권인 이유[생생발언]
- 한남시범 아파트 120가구 주민들 "재건축 왜 못하게 하나"[영상]
- [실적] 한화솔루션, 2Q 영업이익 1941억원
- [실적] 하나금융그룹, 상반기 순이익 2조209억원
-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막무가내 공공돌봄 중단, 도덕적해이?[영상]
- "공공돌봄이 우리의 미래다"[생생발언]
- "최저임금 9860원, 저임금 노동자 외면한 엉터리 결정"[생생발언]
- "자의적이고 임의적인 2024년 최저임금 결정 철회 촉구"[생생발언]
- 대웅, 자사주·자회사 주식 매입에 200억 투입
- 1천만명의 밥줄... "최저임금 다시 논의하라"[영상]
- [실적] LG생활건강, 2Q 영업익 1578억원
- [실적] 우리금융, 상반기 당기순이익 1조5386억원
- 직무 복귀한 이상민… 이재명 "탄핵 기각, 면죄부 아냐"
- [실적] 한미사이언스 JVM, 2Q 매출 387억원
- [실적] LG전자,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 주호민, 비판 여론 확산… 날벼락 맞은 '꼬꼬무·라면꼰대 여름캠프'[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