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아동 이어 뇌전증 교수들, 18일 집단휴진 불참

지난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개최된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 촉구 환자단체 공동 기자회견'. 사진=한국환자단체연합회
지난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개최된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 촉구 환자단체 공동 기자회견'. 사진=한국환자단체연합회

[뉴스클레임]

분만병의원협회,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어 대학병원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이 오는 18일 대한의사협회 차원의 집단휴진에 불참하겠다고 밝혔다.

전국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이하 협의체)는 14일 입장문을 내고 "의협의 단체 휴진 발표로 많은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이 혹시 처방전을 받지 못할까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다"며 "협의체 차원에서 의협의 단체 휴진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협의체는 "뇌전증은 치료 중단 시 신체 손상과 사망의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질환이다.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은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면 사망률이 일반인의 50-100배로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어 "뇌전증 지식이 없고 치료하지 않는 의사들은 처방하기 어려우며 일반 약국에서 대부분 약물을 구할 수도 없다"면서 "항뇌전증약의 일정한 혈중 농도를 항상 유지해야 해 한 번 약을 먹지 않아도 심각한 경련이 발생해 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했다.

의료계 집단 휴진과 관련해선 "환자들의 질병과 아픈 마음을 돌봐야 하는 의사들이 환자들을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잘못이 없는 중증 환자들에게 피해와 고통을 주지 말고, 차라리 삭발하고 단식을 하면서 과거 민주화 투쟁과 같이 스스로를 희생하면서 정부에 대항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공의 사직 후 115일 동안 수많은 중증 환자들과 가족들이 극심한 고통과 피해를 보고 있다. 의대생과 전공의는 빨리 돌아오고 의사단체들은 과학적인 근거 수집과 분석으로 정부에 대항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