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 선전전
공공병상 확충, 공공의사 양성 및 지역의사제 도입 등 요구

26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 선전전 및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26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의료연대본부 투쟁선포 선전전 및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5개월을 지났다. 여전히 의료공백은 해결되지 않고 의정갈등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 속 병원·돌봄노동자들이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의료를 바로 잡기 위한 투쟁을 선포하고 나섰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26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의 목표는 정부의 가짜 의료개혁에 맞서 진정한 의료개혁을 실천하는 것이다. 헌법에 보장된 건강권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의료제도를 다시 설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건강할 권리, 공공의료 확대'를 내걸고 ▲공공병상 확충 ▲공공의사 양성 및 지역의사제 도입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어린이부터 무상의료 실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 ▲건강보험공단 데이터 민간기관 제공 금지 ▲간호사 1인당 환자수 법제화 ▲복지부·교육부 정기협의 등을 요구했다.

의료연대본부는 "의사들은 대토론회를 열고 휴진하면서 사태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 국민 여론과 반대되는 억지 주장을 멈추지 않고, 자신들의 이익을 더 강화시키기 위함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며 "국민생명을 위협하는 의료거부, 노동자에게 고통을 전가하는 병원 자본에 맞서 노동자, 시민이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연대본부 박경득 본부장은 여는 발언을 통해 "대한민국 의료를 다시 살리는 방법은 모두의 건강할 권리인 '공공의료 확대'이다. 공공의료 확대를 위해 정부도 복지부도 병원노동자들과 협의 테이블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공운수노조 강성규 부위원장은 진짜 의료개혁 핵심으로 '의료공공성 강화'를 이야기하며 "공공병상을 확충하고 공공의사 양성 및 지역의사제를 도입해 지역 공공의료를 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확대하고 건강보험 공단의 빅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하려는 시도를 막아야 한다"며 "의료공공성 쟁취는 물론 사회공공성 강화와 국가 책임일자리 쟁취를 위해 함께 싸우겠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