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전라남도 이주노동자 대책 촉구 기자회견
지난 2월 네팔 출신 이주노동자 사망
"전남지역 이주노동자 대한 인권실태 조사 실시해야"

6일 오전 전라남도청 앞에서 진행된 '28세 네팔 이주노동자 사망사건 전라남도 이주노동자 대책 촉구 기자회견'
6일 오전 전라남도청 앞에서 진행된 '28세 네팔 이주노동자 사망사건 전라남도 이주노동자 대책 촉구 기자회견'

[뉴스클레임]

지난 2월 발생한 '28세 네팔 출신 이주노동자 사망사건'과 관련, 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 등이 전라남도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 금속노조광주전남지부, 민주노총영암군지부 등은 6일 오전 전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주노동자들은 폐쇄적인 노동환경, 통역 문제 등으로 이중삼중의 어려움속에 괴롭힘을 당해도 혼자 이겨내야 하는 상황이었다는 것이 이번 사망사건을 통해 드러났다. 영암경찰서, 노동부 목포지청을 통해 철저하게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 등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새벽 28세 네팔 출신 이주노동자가 폭언, 폭행, 괴롭힘 등에 힘겨워하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 민주노총 이주노동자노조에서 동료 노동자들의 진술을 종합해 보면 사장과 네팔 출신 팀장의 상습적인 폭행, 직장 내 괴롭힘으로 힘들어했다는 동료들의 진술을 확인했다고 단체는 설명했다.

이들은 "이 돼지축사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 20명 중 19명이 네팔 출신으로 지난 1년간 업체를 떠난 노동자가 28명이다. 대부분의 축사시설은 민가에서 떨어져 있는 데다 방역을 이유로 외출이 힘든 상황으로, 이들은 자신들의 괴롬힘 등 어려움을 알리지 못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남 영암군 이주민 비율이 18.6%, 영암군 삼호읍의 이주민 비율이 35%에 달한다"면서 "전라남도를 비롯한 지자체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행정에 대한 점검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특히 농축산, 어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또 "전남지역 돼지축사 및 어업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에 대해 전라남도는 실태조사를 한 번도 진행하지 않았다. 전라남도에서 이주노동자가 인권침해 및 폭행을 당해도 쉼터가 없어서 멀리 있는 광주의 쉼터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이러한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철저한 실태조사와 이주노동자 노동인권보호가 필요하다. 전남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주노동자 및 사업주에 대한 노동인권교육을 강화하고, 전남지역에서 인권침해 및 폭행으로 고통받는 이주노동자들의 쉼터가 없음을 인식하고 이주노동자 쉼터를 즉각 설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영암경찰서, 고용노동부 목포지청, 전라남도에 이주노동자 사건과 관련해 철저하게 수사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