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뉴스클레임]  우려가 결국 현실로 닥치고 있다.

한국은행이 추계한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보다 0.2% 줄어든 것이다.

작년 1분기에 비해서도 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총소득(GDI)0.4% 감소했다.

한은은 지난 2, 1분기 성장률을 0.2%로 예상했지만 마이너스 0.2%’의 부진한 성적표를 받는 데 그쳤다. ‘0%대 성장에도 못 미치는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말았다.

부문별로도 죄다 빨간불이다.

민간소비는 0.1%, 정부소비도 0.1% 줄었다.

설비투자는 2.1%, 건설투자는 3.2%나 감소했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20213분기의 마이너스 4.9% 이후 36개월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수출로 먹고사는 경제인데, 그 수출이 1.1% 감소했다.

문제는 앞으로도 전망이 별로라는 점이다.

국내총소득(GDI)이 줄어든 상황에서 소비를 늘리기는 어려워지고 있다.

그렇다면 수출을 늘려야 할 텐데, 4월 들어 20일까지의 수출은 5.2%가 줄었다. 올해 들어 420일까지의 수출도 마이너스 2.7%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수출증가율을 1.5%로 예상했지만 벌써 허덕이는 것이다.

여기에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탄이 부과되면, 대미 수출이 8.4%에서 최고 14%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성장률을 0.10.2%포인트 낮출 것이라는 예상이다.

악순환이 우려되는 것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최근 우리 경제는 대외여건이 급격히 악회되며 경기의 하방압력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몰고올 후폭풍을 우려한 바 있다.

정부는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 회의’, ‘민관 합동 미 관세조치 대책회의’, ‘거시경제 금융 현안 간담회등을 열고 있지만 뾰족한 해결책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122000억 원 규모의 필수 추경안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6·3 대선이라는 정치 일정이 경제를 가로막고 있는 현실이다.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내수도 수출도 부진하면 이는 고용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부족한 일자리는 더욱 모자라게 생겼다. 일자리가 없으면 소득도 없을 수밖에 없고, 이는 소비 부진을 더욱 자극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