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인력 확충과 새 정부 정책과제 대한 국민여론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9명 "보건의료인력 확충 필요"

[뉴스클레임]
국민 3명 중 2명은 병원 인력 수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의대 설립에는 10명 중 8명이 찬성한다고 답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은 여론조사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 1~2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건의료 인력 확충과 새 정부 정책과제에 대한 국민여론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에 병원 인력 수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63.4%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67.0%), 서울(64.7%) 등 수도권과 50대(73.2%)에서 높게 나타났다.
'병원 인력 부족이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89.2%가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특히 대전·세종·충청(93.3%), 경기·인천(90.3%)과 40대(97.2%)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또한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병원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91.8%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청(96.6%), 강원·제주(95.9%) 지역과 50대(94.1%)에서 인력 확충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높았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러한 조사 결과는 국민 10명 중 9명이 병원인력 확충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병원 인력 확충을 통한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이 보건의료노동자들만의 요구가 아니라 국민적 요구임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병원에 필요한 '직종별 적정 인력 기준'을 마련하고 법으로 의무화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국민 84.6%가 "찬성"이라고 답했다.
병원에 필요한 적정인력 기준이 마련될 경우 가장 개선될 사항으로는 '병원 직원들의 근무환경이 개선돼 의료서비스 질이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34.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진료 대기시간이 줄어들 것’(27.6%), ‘의료사고가 감소하고 환자가 안전해질 것’(23.4%), ‘충분한 설명을 들을 수 있을 것’(12.4%)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로는 ‘지역 간 의료인력 불균형 해소’가 39.5%로 나타났다. 이어 ‘의대 정원 확대 등 의사 인력 증원’(36.3%), ‘간호사,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등 의료진의 근무 환경 및 처우 개선’(21.5%) 순으로 나타났다.
간병비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81.8% 찬성), 의사 인력 확충과 양성 시스템 개선을 위한 공공의대 설립(83.1% 찬성) 등 주요 보건의료 정책에 대해서도 국민들의 높은 지지가 드러났다.
아울러 지역 필수의료 확보와 감염병 대응을 위해 ‘정부가 공공병원의 의사 인력 부족과 재정 문제를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83.1%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보건의료노조는 "81.8%라는 절대 다수의 국민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에 찬성한 만큼 새 정부는 초고령사회에 국민들의 높은 간병비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모든 병원의 모든 병상으로 전면확대하는 정책과제를 국가적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서도 83.1%라는 압도적 다수의 국민이 찬성한 만큼 새 정부는 이번에는 더 이상 미루거나 주저앉지 말고 공공의대 설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