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브라질 북동부 지역에서 극심한 가뭄이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주민들은 가난과 고통으로 허덕여야 했다.
결국,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남성들이 돈을 벌기 위해 대도시로 떠났다. 무슨 일이라도 찾지 않으면 가족이 굶어 죽을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 바람에 마을에서는 여성이 집을 지키며 아이들을 보살펴야 했다. 이들은 남편이 있는데도 ‘과부 신세’가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 여성이 늘어나면서 이들에게 ‘환경 과부’라는 이름이 붙었다. 1990년대에 생긴 ‘신조어’다. 어떤 주(州)의 경우는 그 비중이 전체 가구의 40%나 되기도 했다고 한다.
가뭄의 원인은 무분별한 환경파괴 때문이기도 했다. 아마존 열대우림이 마구잡이로 파괴된 결과였다. 물론 아마존 열대우림은 지금도 파헤쳐지고 있다.
‘환경 과부’는 어쩌면 ‘세계적인 현상’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지난 4월,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스대 연구팀은 지구촌 온도가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도 높아질 경우 세계의 1인당 평균 국내총생산(GDP)이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종전의 추정치 1.4%보다 더 클 것이라는 전망이었다.
먹고살기가 이렇게 어려워지면 일자리를 찾아 헤매는 사람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환경 과부’도 따라서 증가하게 될 것이다. 지구의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고향을 떠나는 ‘신유목민’이 10억 명씩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아내가 남편을 두고 일자리를 찾아 떠날 수도 있다. 그러면 남겨진 남편은 ‘환경 홀아비’다. 하지만 남편과 떨어져서 홀로 일하는 아내도 ‘환경 과부’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재해’ 때문에 홀몸이 되는 여성도 만만치 않아지는 모양이다. 이를테면 ‘산재 과부’다.
국정기획위원회가 대국민 보고대회에서 내놓은 국정과제 가운데 산재 사고의 사망자 비율을 2030년까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의 평균 수준까지 낮추겠다고 한 게 그렇다.
노동자 1만 명당 산재 사망자의 비율을 의미하는 ‘만인율’이 작년 0.39명에 달했는데, 이를 OECD 평균인 0.29명까지 끌어내리겠다는 것이다.
작년 산재 사망자는 827명이었다고 했다. 모두 남성이었다고 가정하면 ‘산재 과부’도 그만큼 발생한 셈이다. 부상으로 장기 입원하는 노동자도 적지 않을 것이다. 그 아내 역시 ‘산재 과부’ 신세일 수밖에 없을 노릇이다.
올해 1분기 산재 사망자는 137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명’이 줄었다는 고용노동부 발표도 있었다. 그중에서 건설업의 경우는 71명으로 되레 7명이 늘었다고 했다.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부산 기장군 건설현장 화재 등 대형사고 때문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든 산재 사망 사고를 최대한 빠른 속도로 대통령에게 직보하라”고 지시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의 열악한 환경도 원인이 되고 있다. 2년 전 경기도 포천의 돼지우리에 마련된 숙소에서 거주하던 태국 국적의 60대 노동자가 숨졌다. 악취가 코를 찌르는 돈사 귀퉁이에 샌드위치 패널로 만든 ‘구조물’이었다는 보도였다.
5년 전 겨울에는 포천의 비닐하우스에서 잠자던 30대 캄보디아 여성이 숨지는 비극도 있었다. 영하 20도에 육박하는 혹한이었다는데, 가족을 먼 고국에 두고 사별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