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설강화’, 국민청원·협찬철회 줄줄이
JTBC “‘설강화’ 역사왜곡·민주화운동 폄훼 없어”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에 이어 JTBC 주말드라마 ‘설강화’가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JTBC 측은 ‘설강화’에 민주화 운동을 주도하는 간첩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명했지만, 드라마 방영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설강화’는 1987년 서울을 배경으로 대학생 ‘영로’(지수 분)와 여자대학교 기숙사에 피투성이로 뛰어든 ‘수호’(정해인 분)의 사랑 이야기를 그렸습니다.
그러나 지난 3월 시놉시스와 캐릭터 소개 글 일부가 온라인상에서 유출됐고, 민주화 운동 폄훼와 안기부 직원 캐릭터 미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급기야 드라마 촬영 중지를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올라왔고, 청와대 측은 “방송사와 제작진 측이 민주화운동을 폄훼하는 드라마가 아니라고 입장을 밝혔다. 다만 지나친 역사왜곡 등 방송의 공적 책임을 저해하거나 심의 규정을 위반하는 방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대상이 된다”고 답했습니다.
결국 ‘설강화’는 예정대로 방송됐지만, 지난 18일과 19일에 방영된 1·2화에는 재독교포 출신 대학원생인 수호가 사실 북한에서 파견된 간첩이었고, 이를 모르는 영로가 그를 운동권 학생으로 오인해 기숙사에 숨겨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이를 본 시청자들은 앞서 문제가 된 시놉시스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방영 중단을 요청하고 나섰습니다. 일부 누리꾼들은 트위터 등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 ‘설강화 협찬사 리스트’를 공유하며 각 업체에 협찬 취소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업체들은 공식 홈페이지나 SNS를 통해 협찬 또는 제작 지원을 취소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21일 기준 ‘설강화’를 방영 중지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3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서 드라마를 둘러싼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지만, JTBC는 “사실과 다른 내용을 바탕으로 논란이 식지 않고 있다”며 사실상 ‘방영 중단’은 없음을 우회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이날 JTBC는 공식 입장을 통해 “‘설강화’의 극 중 배경과 주요 사건의 모티브는 군부정권 시절의 대선 정국이다. 이 배경에서 기득권 세력이 권력 유지를 위해 북한 정권과 야합한다는 가상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며 “‘설강화’는 권력자들에게 이용당하고 희생당했던 이들의 개인적인 서사를 보여주는 창작물”이라고 해명했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는 민주화 운동을 주도하는 간첩이 존재하지 않는다. 남녀 주인공이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거나 이끄는 설정은 지난 1·2회에도 등장하지 않았고 이후 대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현재 많은 분들이 지적한 ‘역사 왜곡’과 ‘민주화 운동 폄훼’ 우려는 향후 드라마 전개 과정에서 오해의 대부분이 해소될 것이다. 부당한 권력에 의해 개인의 자유와 행복이 억압받는 비정상적인 시대가 되풀이되지 않기를 바라는 제작진의 의도가 담겨 있다”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