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픽사베이

 

[뉴스클레임]  보도에 따르면, 92개 시민·사회·노동·언론단체가 모인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KBS땡윤 방송도 모자라 극우·친일 방송까지 만들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었다. 광복절인 15일 방영한 이승만 다큐멘터리 기적의 시작과 오페라 나비부인공연 등을 성토한 것이다.

지난달에는 박찬대 더불어주당 대표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공영방송을 제아무리 땡윤 뉴스윤비어천가로 가득 채운다 해도 역대 최악의 국정 실패를 감출 수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알다시피, ’땡전 뉴스는 과거 전두환 정권 때 생긴 용어다. 매일 저녁 9시 뉴스 때 첫 소식이 전두환 대통령은 오늘로 시작하거나, 또는 오늘 전두환 대통령은으로 시작되면서 생긴 신조어였다. 여기에 빗대서 땡윤 뉴스라고 비난하는 것이다.

땡윤 뉴스가 있으니, ‘땡문 뉴스도 없을 수 없다. 문재인 정권 때 국민의힘의 전신인 자유한국당이 꼬집고 있었다.

201810, 자유한국당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5월부터 20188월까지 KBS, MBC, EBS 등 공영방송의 뉴스를 분석하고 있었다. KBS 뉴스9의 경우 13758건의 키워드 12009개 가운데 문재인’, ‘’, ‘대통령등의 빈도가 726회였다고 했다.

2019년에는 나경원 당시 원내대표가 “KBS는 청와대 수석의 전화를 받고 태양광 사업의 청와대 외압을 고발한 다큐의 방영을 스스로 보류하는 수준이라며 “2019년 판 땡전뉴스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땡문 뉴스때문에 국민이 다 채널을 돌리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이랬던 땡문 뉴스땡윤 뉴스로 바뀐 것이다. 이를테면, ‘공수교대를 한 셈이다.

과거, ‘땡전 뉴스는 매일 첫 소식을 차지한 것 말고도 더 있었다. 끝부분은 항상 한편으로 계속되었다. “한편 이순자 여사는이 따라붙은 것이다.

뉴스의 가치가 톱뉴스와는 거리가 멀 때가 많았다. 그래도 첫 소식은 언제나 오늘이었다. 그리고 한편이었다. 전씨는 TV 여러 대를 켜놓고 자신이 나오는 첫 뉴스를 즐겼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언론은 그런 전씨에게 오늘’, 이 여사에게는 한편이라는 별명을 붙이기도 했다.

땡전 뉴스가 지겹도록 계속되면서 시청자들은 이를 피해 가는 방법도 터득히고 있었다. 다른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대통령 관련 뉴스가 끝날 때쯤에 채널을 돌려서 다음 뉴스를 시청하는 방법이었다. 언제나 첫 뉴스였기 때문에 그게 가능했다.

그렇지만 번거롭기도 했다. 오늘날처럼 리모컨이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채널을 일일이 돌려야 했다.

권력은 방송을 이렇게 장악하고 있었다. 어쩌면 권력의 손아귀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지도 않았다. 아직도 땡윤 뉴스, 땡문 뉴스라는 삿대질이 여전한 게 그렇다.

언론은 그러면서도 반성할 생각들이 없어 보인다. ‘진보 언론, 보수 언론으로 갈라져서 얼굴을 붉히고 있을 뿐이다.

갈라진 언론은 통제하기도 쉬울 수밖에 없다. 독재정권과 맞설 때처럼 똘똘 뭉쳐야 힘을 발휘할 수 있을 텐데, 스스로 편을 가르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