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집단임금교섭 결렬 규탄 및 총파업 경고
교육공무직본부 "임금격차 심화하는 근속수당 대폭 인상"

[뉴스클레임]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서울지부(이하 교육공무직본부)가 실질임금 인상 등을 촉구하며 총파업을 경고했다.
교육공무직본부는 15일 오전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2024년 집단임금교섭 결렬 규탄 및 총파업 경고 기자회견'을 갖고 "사측의 전향적 교섭 태도와 진전된 수정안 제시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동시다발로 진행됐다.
교육공무직본부 서울지부의 요구안은 ▲물가폭등 실질임금 저하 반영한 임금인상안 제시 ▲기본급은 최저임금에 맞추고, 명절휴가비 지급기준 차별 그만 ▲2년 동결 근속수당, 1000원 인상안 철회 및 인상 ▲급식실 결원사태 방치말고 저임금 개선책 제시 ▲임금교섭안 전문부터 부칙까지 성실한 수정안 제시 등이다.
교육공무직본부는 "지난 24일 시작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와 교육부, 시도교육청 간 집단 임금교섭이 결렬됐다. 현재 연대회의는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 중이며, 오는 25일 종료 이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임금 2유형 기본급 198만6000원을 기준으로 최저임금에 맞추고, 물가폭등과 실질임금 하락을 반영해 기본급 11만270원 인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5만3500원 인상안으로 외면했다". 이에 더해 근속수당은 지난 2년간 동결됐음에도 단돈 1000원 인상만 내놓았다"고 설명했다.
명절휴가비와 관련해선 "정규직인 공무원 9급 기준으로 명절휴가비는 학교비정규직과 50만원부터 많게는 250만원 가까이 격차가 난다. 정규직과 같은 '지급기준'이라도 적용해달라고 해도 사측은 묵묵부답이다. 겨우 연간 10만원 인상안 제시에 그쳤다"고 말했다.
교육공무직본부는 "근거도 기준도 없는 임금은 교육공무직 노사관계가 파업 등 충돌을 반복해온 주요 원인이다. 이 문제를 해소하고자 노사는 별도로 임금체계협의도 진행해왔지만 사측의 태도는 더 가관이다. 아예 '합의 자체를 거부'하는 무성의 끝판왕이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노조의 진정성과 인내를 무시한다면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 교육감의 무책임과 시간끌기 교섭이 계속되면, 점점 더 투쟁으로 몰아갈 뿐임을 사측은 명심하길 바란다. 예년과 같은 인상총액 수준에서 대강 교섭을 끝낼 생각이 없다"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