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김낙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이 지난주 국회 국정감사에서 ‘일제가 조선의 쌀을 수탈한 것이 아니라 조선이 일본에 수출한 것’이라는 과거 발언과 관련, “지금도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원장의 과거 발언 영상을 공개하고 있었다. 김 원장은 영상에서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은 일제시기 농민의 궁핍을 엉뚱하게도 일제가 쌀을 수탈했기 때문이라고 강변하고 있다”며 교과서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문 의원이 “일본이 제값을 주고 쌀을 산 것인가” 묻자 김 원장은 “‘제값’은 보기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판단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었다,
김 원장의 주장대로, 쌀을 ‘수출’한 것이라고 하자. 하지만 문제는 ‘가격’이 아닌 ‘물량’이다. 지나치게 과다하게 ‘수출’한 것이다.
1942년의 경우, 쌀 생산량은 1475만6000섬이었다. 이 가운데 ‘수출’한 쌀이 1094만7000섬이었다. 생산량의 74.2%에 달했다.
이에 따라 남은 쌀은 380만9000섬에 그쳤다. 조선 사람들은 이 남은 쌀로 1년을 버텨야 했다.
그러나 그것마저 전부가 조선 사람의 몫이 아니었다. 그 가운데 90만 섬은 조선 내에서 거주하는 일본 사람의 식량이 되어야 했다. 결국, 290만5000섬이 조선 사람 차지였다.
당시 인구는 2552만5000명이었다. 290만5000섬의 쌀은 1인당 ‘2되’에 불과했다.
한 달에 ‘2되’가 아니다. 1년에 ‘달랑 2되’만큼만 남겨주고 착취한 것이다.
‘재고’라도 있었다면 모를 일이지만, 전쟁에 광분한 일제가 재고 쌀을 남겨두었을 리는 없다. 깡그리 긁어가지 않은 게 그나마 다행일 정도였다.
그렇다면, 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연명했을까. 당시 평안북도 각 군의 ‘평균자료’가 보여주고 있다.
옥수수 36%, 콩 19.3%, 수수 9.5%, 보리 9.3%였다. 여기에 쌀 5.4%를 섞고 있었다.
“나물과 풀뿌리를 곡식 부스러기와 섞어 끓이는데, 이것이 소작인들의 유일한 식량”이라고 했다.
이랬는데, 김 원장은 ‘수탈’이 아니라 ‘수출’이라는 주장이다.
문 의원은 “100원짜리를 10원에 가지고 갔으면 수출이냐. 수탈”이라며 “일본이 우리나라 쌀을 제 가격을 주고 사 갔다는 근거를 내놓으라”고 요구하고 있었다.
국민의힘 조정훈 의원도 “쌀이 남아서 수출했다고 생각하냐”며 “그 수출로 우리가 이익을 얻었다고 생각하는가” 따져 묻고 있었다.
‘핵심’을 빗나간 질의가 아닐 수 없다. 74.2%는 4분의 3이다. 당시 조선 농민들은 농사지은 쌀을 4분의 3이나 빼앗기고 있었다. ‘이익’이 아니라 남은 쌀로 ‘생존’하는 게 문제였다.
김 원장의 쌀을 ‘수출’했다는 발언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주장과도 ‘엇박자’다. 김 장관은 이번 국감에서도 “일제강점기의 국적은 일본”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렇다면, 쌀은 ‘수출’된 게 아니라 ‘반출 또는 판매’된 것이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수출은 “자국의 물품이나 상품 따위를 다른 나라에 팔아 내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국적이 일본’인 농민이 일본에 쌀을 팔았다면, 그게 ‘수출’일 수는 없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오후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 가끔 비, 서울·인천·경기 5mm 미만… 낮 최고기온 22~26도
- 허영인 회장 글로벌 경영 성과… SPC 파리바게뜨, 캐나다에 글로벌 600호점 오픈
- 한화그룹, '다이나맥 홀딩스' 공개매수가 11.7% 인상
- KB국민은행, '협력업체 근로자 보호 강화' 상생협약 체결
- 금호타이어, 타이어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
- 미래에셋자산운용,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 신규 상장
- 현대자동차, '교통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권 보장' 업무협약
- 갤러리아백화점, 첫 통합 유니폼 적용
- 세계 식량의 날… LG전자, 기아 퇴치에 힘 보탠다
- KB금융그룹-행정안전부, '착한가격업소 활성화 지원' MOU
- 이마트, ‘사막화 위기’ 몽골에 숲 조성
- 우리은행, 임직원 걸음기부 캠페인
- 현대홈쇼핑, 중소협력사와 日 ‘도쿄 한류박람회’ 참가
- 풀무원, ‘아임리얼’ 전제품에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 도입
- 노스페이스, 김영미 대장 '남극 단독 횡단' 지원
- 웅진씽크빅 '책다른 구독', 유아·초등 저학년 과정 공개
- "현대로템, 방산 수주잔고 10조… 목표가 20% 상향"
- SPC 던킨 동서식품 해태제과 外(유통家 이모저모)
- 넷마블, '지스타 2024'에 신작 출품
- 폭염 지나고 역대급 한파 온다… 유통가 겨울나기 만반
- 베트남 찾은 조현준 효성 회장 "기존 투자액 이상 추가 투자"
- 한화시스템, 위성간 레이저 통신 성공
- 민주 박찬대 "尹대통령·김건희, 명태균 의혹 직접 해명해야"
- 새마을금고, '공감·소통 콘서트'로 조직문화 혁신 나서
- 교사 10명 중 8명 "교육활동 침해당해도 지역교보위에 접수 안해"
- 볼보 ‘XC40 블랙 에디션', 온라인 판매 7분 만에 전량 완판
- 유한양행 이뮨온시아, 코스닥 상장 예심 청구
- "여론조작으로 1회용컵 보증금제 폐기 계획… 장관직 사퇴"
- 학교비정규직 총파업 예고 "차별 철폐, 실질임금 인상"
- 국민의힘 "문재인 전 대통령, 선택적 침묵서 벗어나야"
- 넥슨, '더 파이널스 코리아 오픈 시즌4' 참가자 모집
- 육아 필수품 '분유제조기', 가성비 1등 제품은…
- '정리해고법 철폐 위한 행진'[세종호텔 복직의 길]
- 세종호텔서 국회까지 걸어 온 이유는?
- 수당 삭감에 근무환경 열악… 서러운 '해양수산부 청원경찰'
- 하이브 과로사 은폐 의혹… 정혜경 "지병 때문? 확인 해봤어야"
- '국감 출석' 뉴진스 하니, 따돌림 호소… 민주노총 "노동권 보호해야"
- 동료들은 무슨 죄… 개그맨 이진호, 방송도 잃고 신뢰도 잃고
- [내일 날씨] 수요일 오전까지 전국 내륙 짙은 안개, 곳곳 비… 아침 최저기온 9~20도
- 추억 담은 졸업앨범? "악용 걱정되니까 사진 빼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