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커
플리커

 

[뉴스클레임]  김낙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이 지난주 국회 국정감사에서 일제가 조선의 쌀을 수탈한 것이 아니라 조선이 일본에 수출한 것이라는 과거 발언과 관련, “지금도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원장의 과거 발언 영상을 공개하고 있었다. 김 원장은 영상에서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은 일제시기 농민의 궁핍을 엉뚱하게도 일제가 쌀을 수탈했기 때문이라고 강변하고 있다며 교과서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문 의원이 일본이 제값을 주고 쌀을 산 것인가묻자 김 원장은 “‘제값은 보기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판단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었다,

김 원장의 주장대로, 쌀을 수출한 것이라고 하자. 하지만 문제는 가격이 아닌 물량이다. 지나치게 과다하게 수출한 것이다.

1942년의 경우, 쌀 생산량은 14756000섬이었다. 이 가운데 수출한 쌀이 10947000섬이었다. 생산량의 74.2%에 달했다.

이에 따라 남은 쌀은 3809000섬에 그쳤다. 조선 사람들은 이 남은 쌀로 1년을 버텨야 했다.

그러나 그것마저 전부가 조선 사람의 몫이 아니었다. 그 가운데 90만 섬은 조선 내에서 거주하는 일본 사람의 식량이 되어야 했다. 결국, 2905000섬이 조선 사람 차지였다.

당시 인구는 25525000명이었다. 2905000섬의 쌀은 1인당 ‘2에 불과했다.

한 달에 ‘2가 아니다. 1년에 달랑 2만큼만 남겨주고 착취한 것이다.

재고라도 있었다면 모를 일이지만, 전쟁에 광분한 일제가 재고 쌀을 남겨두었을 리는 없다. 깡그리 긁어가지 않은 게 그나마 다행일 정도였다.

그렇다면, 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연명했을까. 당시 평안북도 각 군의 평균자료가 보여주고 있다.

옥수수 36%, 19.3%, 수수 9.5%, 보리 9.3%였다. 여기에 쌀 5.4%를 섞고 있었다.

나물과 풀뿌리를 곡식 부스러기와 섞어 끓이는데, 이것이 소작인들의 유일한 식량이라고 했다.

이랬는데, 김 원장은 수탈이 아니라 수출이라는 주장이다.

문 의원은 “100원짜리를 10원에 가지고 갔으면 수출이냐. 수탈이라며 일본이 우리나라 쌀을 제 가격을 주고 사 갔다는 근거를 내놓으라고 요구하고 있었다.

국민의힘 조정훈 의원도 쌀이 남아서 수출했다고 생각하냐그 수출로 우리가 이익을 얻었다고 생각하는가따져 묻고 있었다.

핵심을 빗나간 질의가 아닐 수 없다. 74.2%4분의 3이다. 당시 조선 농민들은 농사지은 쌀을 4분의 3이나 빼앗기고 있었다. ‘이익이 아니라 남은 쌀로 생존하는 게 문제였다.

김 원장의 쌀을 수출했다는 발언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주장과도 엇박자. 김 장관은 이번 국감에서도 일제강점기의 국적은 일본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렇다면, 쌀은 수출된 게 아니라 반출 또는 판매된 것이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수출은 자국의 물품이나 상품 따위를 다른 나라에 팔아 내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국적이 일본인 농민이 일본에 쌀을 팔았다면, 그게 수출일 수는 없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