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 총파업 돌입
외래 재활 치료, 병동 운영 중단
운동본부 "장애아동 치료 공백 긴급 대책 당장 시행"

[뉴스클레임]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동자들이 지난 25일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가 정부와 대전시에 사태 해결을 나설 것을 촉구했다.
운동본부는 28일 성명을 내고 "약자들끼리 서로 등지게 만드는 정부와 대전시는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총파업 사태 지금 당장 해결하라"며 이같이 밝혔다.
운동본부에 따르면 전체 직원 98명 중 재활치료사와 간호사, 치위생사, 의료기사 등 77명이 이번 파업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외래 재활 치료, 낮병동 운영이 전면 중단됐다. 입원 중이던 환아들은 모두 퇴원조치 되고 있으며, 하루 평균 100명이 넘는 장애아동들이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됐다.
운동본부는 대전시와 중앙정부의 재정 방임으로 벌어진 사태라며, 책임회피를 중단하고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전국 어디에도 마땅한 치료기관이 없는 상황에서 많은 장애아동 가족들에게 유일한 의료기관이다. 그런데 정부와 지자체는 ‘재정 부족’을 핑계로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운영 예산에 책임을 방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공공’의 이름에 걸맞게 돌봄을 제공하는 노동자들에게 충분한 노동조건이 마련돼야 하는 것은 기본인데,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공공’이라는 단어를 병원 이름에 붙이고도 여전히 그 의미를 전혀 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 당국의 '재정이 부족하다' 주장에 대해선 "거짓말이다. 시 곳간에 1000억이 넘는 돈을 쌓아 두고도, 장애아동을 위한 재정 투입은 거부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운동본부는 "지난해 운영 예산을 90억원 수준에 묶어둔 채, 병원이 요구한 51억원의 국비도, 2차 추경 28.5억원도 외면했다. 그 결과, 124명 정원이 다 채워지기는커녕 퇴사자가 늘고 신입 직원 충원은 되지 않는 상태로 운영되어 왔다. 이에 따라 전체 치료 일정이 1~2개월씩 밀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돌보는 자를 돌보지 않는 병원, 끝내 장애아동과 그 가족들이 병원 문 앞에서 돌아설 수밖에 없게 만드는 병원, 그 책임자인 대전시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대전시는 병원 운영 예산을 즉각 증액하고 ▲정부는 51억원과 2차 추경 28.5억원을 즉시 지원하며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장애아동 치료 공백 긴급 대책을 당장 시행하고, 빠른 시일 내에 병원 운영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