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윤상현 등 공천개입 의혹 수사 전면화… 특검, 진실 향한 직진

[뉴스클레임]
김건희 특검팀이 28일 동시다발 압수수색에 돌입하며 권력형 의혹 수사에 정점을 찍고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주거지와 사무실에 대한 강제수사는 '명태균 공천개입'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파헤치기 위한 수사선상의 핵심 조치다. 이날 수사는 이 대표 개인을 넘어 윤상현 의원, 김영선 전 의원 등 공천에 개입한 정치권 인사 전반에 동시에 겨눠졌다는 점에서, 사안의 중대성과 수사의 의지를 동시에 보여준다.
압수수색의 대상은 광범위했다. 이준석 대표는 피의자로 분류된 상태이며, 윤상현 의원은 이미 무려 14시간에 걸친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바 있다. 경남도지사 공천을 둘러싼 이권 거래, 김건희 여사의 최측근 인사들과 연관된 로비 정황까지 권력형 정·관계 커넥션이 수사선 위로 떠오르고 있다. 명태균 씨로 대표되는 ‘칠불사 라인’의 실체와 정치권 커넥션은 이미 특별수사의 중심축이 되어가고 있다.
압수수색과 함께 수사의 범위는 ‘공천 거래’를 넘어 ‘정권의 도덕성’까지 확대되고 있다. 도이치모터스 관련 수사 지연에 대한 비판이 컸던 상황에서, 이번 수사는 특검이 실효성을 증명할 기회이자 시험대다. 단순한 의혹 차원이 아닌, 민주주의의 핵심 기능인 '선거'의 공정성과 직결된 사건이기에 수사의 밀도는 더 높아져야 한다.
이번 전방위 수사는 제도화된 ‘공천 장사’라는 폐단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의 결과이기도 하다. 특정 종교인들과의 유착, 대가성 정치 개입 정황, 그리고 이를 덮기 위한 외압 가능성까지 특검은 철저히 들여다봐야 한다. 압수수색의 강도와 범위는 그 자체로도 하나의 메시지다. 권력의 끝까지 가겠다는 의지 말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치적 의도’를 운운하며 특검의 수사 방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러나 지금 필요한 것은 정치적 계산이 아닌 성역 없는 진상규명이다. 국민은 공정한 수사로 법이 권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최소한의 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번 압수수색은 시작일 뿐이다. 특검은 단 한 명의 관련자라도 빠짐없이 조사하고, 단 하나의 진실도 놓치지 않는 ‘치밀한 수사'로 국민 앞에 그 존재 이유를 증명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