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9만2730명 '교원 임금 인상' 서명운동 참여
교원 임금 최소 6.6% 인상, 수당 현실화 등 요구
"공무원 보수위원회 교원 위원 참여 법제화해야"

[뉴스클레임]
9만명이 넘는 교사가 한목소리로 외쳤다. "물가는 오르고 통장은 비어가고 청년교사 다 떠난다. 월급빼고 다 올랐다. 교원처우 개선하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이 지난달 발표한 '임금 인상 촉구 서명' 결과는 임금 인상과 처우 개선을 정부에 요청하는 현장 교사들의 절박한 외침이다. 여기엔 교육의 미래를 책임지는 교사들의 현실이 더 이상 외면받아서는 안 된다는 강력한 메시지도 담겼다.
최근 3년간 소비자물가는 11% 이상 상승했지만 교원의 명목 보수 인상률은 총 5.6%에 불과하다. 교사의 실질임금은 약 6% 가까이 줄었고, 생활 여건은 열악해졌다. 신규 교사들은 수당 포함 세후 210만 대의 월급으로 주거비와 생활비, 자녀 교육비를 감당하고 있다. 현장 교사들은 말한다. 헌신에만 의존하는 지금의 구조가 지속되는 한, 교육의 미래를 감당할 수 없다고.
전교조 부위원장이자 저연차교사인 김지희씨는 아이들을 좋아해서 초등학교 교사가 됐지만 정당한 임금과 처우가 보장되지 않아 가르치는 일에 집중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그는 "생각보다 빠르게 벽에 부딪혔다. 매달 제 월급은 통장을 스쳐 지나갔다. 내 몸 하나 건사하기엔 너무 적은 금액"이라고 말했다. 또 "지금의 교사 임금 체계는 근속연수와 호봉에 따라 올라가는 방식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실질적 책임과 업무가 저연차 교사에게도 동일하게, 때로는 더 많이 주어지고 있다"며 "저연차교사들은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정과 책임 희생으로 많은 것을 감당하고 있으나, 그 책임을 감당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주는 처우는 아직 부족하다"고 말했다.
교직 경력 12년 차, 40대 초반 현장 교사인 전교조 김원배 정책국장은 초임 교사들뿐만 아니라 중견 교사들 역시 부족한 임금으로 인해 마찬가지로 힘들고 지쳐있다고 이야기했다.
현재 중견 교사들은 아이를 양육하며 자녀의 미래를 고민해야 하고, 동시에 병원에 자주 가시는 부모님을 돌봐야 하는 부양의 책임도 함께 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 학교에서 부장 교사를 도맡아야 하는 연령대로 각종 행사 및 행정 업무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상황이다.
김원배 정책국장은 "중견 교사는 가정에서도 끼어 있지만, 학교 현장에서도 끼어 있는 세대다. 연차가 쌓이면 조금 더 여유로워질 줄 알았는데 현실은 아니다"라고 토로했다.
또 "교사들에게 책임과 역할은 나날이 늘어나서 힘든데, 덩달아 물가도 많이 올랐다. 그런데, 교사들의 교직 수당만 23년째 단 한 푼도 오르지 않았습니다. 다른 수당도 마찬가지다"라며 "현장의 교사들이 언제까지 거리에 나와 수당 인상 요구를 해야 하느냐"라고 울분을 토했다.
현장 교사들, 전교조의 요구는 ▲교원 임금 최소 6.6% 인상 ▲수당 현실화 ▲공무원 보수위원회 교원 위원 참여 법제화 등이다. 이들의 요구는 특권이 아니다. 김원배 정책국장은 이렇게 물었다. "20년 넘게 수당이 한 번도 오르지 않은 직업이 이 사회에 얼마나 있느냐?". '정년이 보장됐으니 괜찮지 않느냐'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는데, 이는 교직 현실을 모르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전교조, 그리고 서명한 참여한 교사들은 "물가가 인상한 만큼 임금을 인상해서 손해를 보전과, 민간 근로자와의 임금의 격차를 해소해 달라는 것이다. 교사에게 지속 가능한 삶을 보장하지 않으면서 교육의 질을 말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교사 임금을 결정짓는 공무원보수위원회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전체 공무원의 절반에 해당하는 교원을 대표할 위원이 위원회에 단 한 명도 포함돼 있지 않다는 점은 ‘대표 없는 임금 결정’으로 정부가 스스로 민주주의에 대해 부정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교원을 대표할 위원이 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