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원 임금체계 개편·노동권 강화·야간 인력 확충 등 8대 요구
“외주화·구조조정 중단, 환자 안전을 위한 실질 변화 필요”

[뉴스클레임]
폭우 속에서 서울대병원분회 노동자들이 의료 공공성 수호와 인력 확충, 안전한 근무환경 확보를 외치며 공동파업에 나섰다.
17일 오전, 서울대병원 본관 시계탑 앞에서 열린 ‘서울대병원분회 공동파업 출정식’에서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이하 서울대병원분회)는 병원의 민간위탁과 외주화 중단, 인력 증원, 노동권 보호를 촉구했다.
서울대병원분회 “환자 안전, 의료 공공성 지키려면 외주화와 구조조정 중단, 실질적인 인력충원만이 답”이라고 강조했다.
또 “서울대병원은 공공병원 역할에도 불구하고 인력난과 저임금, 위탁 확대로 의료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고 있다”며 “노동자와 환자 모두를 위한 변화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환자 안전을 위한 필수 인력의 신속한 충원 ▲민간위탁과 외주화, 구조조정 중단 ▲국립대병원 최하위 수준 임금체계 개편과 실질임금 인상 ▲야간 의료 인력 부족 해소 및 안전한 일터 마련 ▲노동조건 개선과 노동권 강화 ▲공공과 지역의료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의료민영화 저지 및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병원의 보건복지부 이관, 총인건비제 개선, 의사 성과급제 폐지 등 제도 개편 등을 핵심 요구로 내세웠다.
이날 윤태석 파업대책본부장은 “서울대병원 현장은 노동강도와 인력 부족으로 병원이 운영되는 상황이다. 외주화와 구조조정으로 현장은 더욱 어려우며, 부족한 인력과 열악한 환경에서 의료 공공성은 위협받고 있다"고 발언했다.
이어 "이 자리는 공공병원의 본질을 지키기 위한 결의의 현장"이라며 "실질적인 인력충원, 처우 개선 없이는 이 위기를 넘어설 수 없다”고 밝혔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의료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서울대병원은 민간위탁 정책을 고집하며 노동자의 희생만을 강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구조조정과 외주화로 인한 피해를 묵과하지 않겠다. 노동자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만큼, 병원과 정부는 반드시 답해야 한다. 우리의 요구는 환자와 국민 모두를 위한 정당한 외침”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