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DB
뉴스클레임 DB

[잡채기 칼럼=문주영 편집위원] ‘2021 코리아세일페스타’가 열리고 있다. 지난 1일부터 오는 15일까지 계속되는 행사다. 전국적으로 개최되는 ‘온‧오프라인 대규모 할인전’이라고 했다. 참여업체 숫자는 ‘역대 최대’ 규모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개최 첫날 현장을 찾아 “백화점 업계뿐 아니라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의 중소기업, 중소 유통업계, 소상공인 등에게 활력을 불어넣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소비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과 함께 현장 방역 관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코리아세일페스타‘와 함께 ’2021 대한민국 수산대전-코리아수산페스타‘도 열리고 있다. 코리아세일페스타와 같은 기간이라고 했다. 소비를 장려하는 행사다.

‘코리아패션마켓 시즌4’라는 행사도 열렸다. 코리아세일페스타와 연계,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4일까지 개최된 행사다. ‘대규모 의류 할인 행사’라고 했다.

또 8일에는 ‘20221 대한민국 수산대전-전통시장 온누리 상품권 환급 2차 행사’라는 긴 명칭의 행사도 시작되었다. 오는 12월 5일까지 계속된다고 했다. 코로나19로 위축된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고, 수산물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지난 추석 때 처음 열렸던 것으로, 2차 행사는 더 많은 소비자들이 혜택을 늘릴 수 있도록 기간을 연장했다고 했다.

‘2021 여행가는 달’ 행사도 있다. KTX 왕복권을 포함한 관광상품을 1만8000명에게 최대 40% 싸게 팔고, 숙박 할인권도 이용할 수 있는 행사다. 8일부터 오는 30일까지 열린다고 했다.

그러나 물가가 치솟는 상황에서의 행사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2%로 9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국민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더욱 높을 수 있다.

물가가 비싸면 국민은 소비를 줄이는 수밖에 없다. 수입이 물가만큼 올라주지 않으면 소비를 줄여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정부는 그런 국민에게 소비를 권장하고 있다.

위기의 자영업자를 위해서라도 소비는 늘릴 필요가 있다. 하지만 가격을 깎아준다는 ‘당근책’에도 국민은 선뜻 소비에 나서기 어려운 것이다.

과거,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과의 인터넷 대화’에서 “걱정 말고 쓰시라. 미래를 위해 저축하는 분들도 우선 쓰고 보시라”며 소비를 권장했었다. 그렇지만 국민은 소득이 부족했다. 소득이 있으려면 일자리가 필요한데, 그 일자리는 되레 줄어들고 있었다. 당시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경제는 장기적으로 안정적 급여를 받는 고용을 창출할 능력을 상실했다”고 혹평했을 정도였다.

‘2021 여행가는 달’도 그렇다. 박근혜 정부 때는 명칭이 ‘여행주간’이었는데, 지금은 아예 ‘달’로 확대되고 있다. 주머니 허전한 서민들의 마음까지 덩달아 허전해지도록 만드는 ‘달’이 아닐 수 없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