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중국이 ‘중국 발(發) 황사’라는 우리나라와 일본 언론의 표현에 발끈했다는 소식이다. 황사의 ‘발원지’는 중국이 아니라 ‘몽골’이라는 것이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올해 가장 강력한 두 차례의 황사가 수도 베이징에서 600㎞ 이상 떨어진 몽골에서 발생했다”면서 “한국과 일본의 ‘일부’ 언론이 황사가 자기나라 사람의 삶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도했다”고 반박하고 있었다.
관영 ‘환구시보’도 “황사의 발원지는 중국 밖에 있고 중국은 경유지에 불과하다”면서 “관련 국가들은 여론몰이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거들고 있었다. 몽골에서 발생한 황사 때문에 중국 역시 피해를 입고 있다는 주장이라는 해석이다.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2021년에도 같은 주장을 했었다. “모래 태풍이 몽골 남서부 지역에서 중국 영토로 들어온 것”이라며 “그런데 한국 언론은 ‘중국’을 언급하고 베이징 사진을 첨부했다”고 비난한 것이다.
중국 정부도 같은 논리를 펴고 있었다. 외교부 대변인이 “황사는 중국 국경 밖에서 시작되었고, 중국은 단지 거쳐서 가는 곳일 뿐”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그러면서 “몽골이 황사 소식을 공식 발표했지만, 중국 여론은 몽골에 책임을 묻지 않는다”고 밝히기도 했다. 우리도 ‘중국 탓’을 그만두라는 얘기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따져볼 게 있다. 황사의 ‘경유지’라고 ‘면피’일 수는 없다는 점이다.
황사가 중국을 ‘점프’해서 뛰어넘는다면 문제가 있을 수 없다. 하지만 황사가 중국을 경유하면, 그 과정에서 아황산가스와 구리, 다이옥신 등 공업지대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이 섞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 사실은 벌써부터 알려지고 있었다. 20년쯤 전. 삼성경제연구소는 황사의 피해를 추산했다. 2002년의 경우 황사 때문에 우리가 입는 피해가 연간 5조5000억 원에 달했다고 했다.
이는 경상 국내총생산(GDP)의 0.8%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했다. 따라서 우리 국민 1인당 11만7000원씩의 ‘황사 피해’를 입은 셈이라는 지적이었다.
몇 해 전에는 초미세먼지 가운데 34%가 중국의 영향 때문이라는 대한민국 정부의 조사도 있었다. 산둥 22%, 베이징 7%, 상하이 5% 등이라고 했다. 합쳐서 34%였다.
대기가 비교적 정체되어 있을 때 조사했는데도 중국의 영향이 이처럼 컸다고 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절반 넘었지만, 여기에 ‘중국 것’이 보태지고 있었다.
또 언젠가는 황사에서 ‘방사성 세슘’이 검출되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유해한 정도는 아니라는 보도였지만 찜찜한 소식이 아닐 수 없었다.
그래서 황사는 유해물질이 섞이는 ‘나쁜 바람’이다. 그 바람을 오래 맞으면 건강한 사람도 앓을 수 있다고 했다.
베이징 시민들은 “중국에서 맑은 공기는 ‘사치품’에 불과하다”고 푸념하기도 했다. 중국은 유해물질을 잡아서 자기나라 국민부터 보호해야 좋았다.
그러나 중국이 자기나라의 하늘을 쾌적하게 개선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중국은 경유지”라는 주장뿐이다.
주요기사
- LG유플러스, 'U+뉴스’ 무료 오픈
- 기아, 밀라노서 해외 첫 전시회 개최
- 삼성전자, 美 헬스케어 전시회서 '삼성 헬스 스택' 공개
- 하나금융티아이, 컴투스홀딩스와 블록체인 기술 협력 MOU
- 대웅제약, 英 시그니처와 자가면역질환 신약 개발 협력
- 미래에셋 글로벌엑스, 뉴욕증권거래소에 프롭테크 ETF 신규 상장
- 미래에셋증권, ELW 235개 종목 신규 상장
-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 "항공편 결항에도 환급 지연"… 국제거래 소비자상담 급증
- KB국민은행, 스타트업 성장 프로그램 참가 기업 모집
- 고공 선택한 서울신용보증재단 콜센터 노동자들[포착]
- 홍준표 "입 닫을테니 약속한 당 지지율 60% 만들어 보라"
- 무너지는 'K-급식'… 학교급식노동자 자발적 퇴사 55.8%[영상]
- 이재명 "전세사기, 중대한 민생 범죄… 피해자 보호할 방안 마련해야"
- "재난통신망 기록 폐기, 진상규명 방해행위"[이상민 장관 파면 촉구]
- 이태원 참사 유가족 "삭제된 재난통신망 기록… 참담"[생생발언]
- '이상민 탄핵 심판' 2차전… 이태원 참사 유족 "재난통신기록 폐기 규탄"
- 식중독균 검출 '무화과 다쿠아즈' 판매 중단·회수
- 서울교통공사 손배소에 전장연 "전략적 봉쇄소송 멈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