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한국은행이 물가와 관련, 기업 탓을 하고 나섰다. 기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제품가격을 빠른 주기로 올렸다는 것이다.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이라는 자료다.
자료에 따르면, 기업들의 제품가격이 2021년까지는 한 번 ‘조정’된 후 9.1개월을 유지했지만, 그 이후에는 6.4개월로 주기가 짧아졌다고 했다. 연간 1.3회 제품가격을 올렸던 기업들이 코로나19 이후에는 6개월마다 인상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업들이 제품값 인상 주기를 단축하게 된 원인 중에는 ‘과다한 통화방출’도 빠뜨릴 수 없다. 엄청나게 늘어난 통화량이 물가를 자극하게 된 것이다. 한국은행의 자료에는 이런 내용이 보이지 않았다.
2021년 11월에 있었던 ‘과거사’만 봐도 알 수 있다.
당시, ‘집값정상화시민행동’은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집값 폭등 5적’을 성토하고 있었다. 그 ‘5적’에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과 함께 ‘금융통화위원’이 포함되고 있었다. 금융통화위원장은 한국은행 총재다. 따라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도 시민행동의 성토 대상이었던 셈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은 해외에서 지적될 정도로 돈을 많이 풀었다. 세계은행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통화량의 비율이 151.5%에 달한다고 지적한 적도 있었다. 그 바람에 경제 규모와 비교한 우리나라의 통화량이 홍콩, 일본, 중국 다음으로 많았다고 했다. 한국의 통화당국이 세계에서 4번째로 돈을 많이 풀었다는 얘기였다.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거론되고 있었다. 당시 야당이던 국민의힘의 질타가 간단치 않았다. “한국은행도 부동산값 폭등에 대한 책임이 있다”, “한국은행이 부동산정책 실패의 주역”이라는 등의 ‘책임론’이었다.
부동산값에 국한된 비판이었다고 ‘면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부동산값이 오르면 기업의 제품값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없다. 대충 다음과 같은 등식이 성립될 수 있다.
“부동산값 폭등→ 공장·사무실 임대료 상승→ 기업 생산 단가 자극→ 제품가격 반영.”
한국은행은 자료를 낸 김에 통화정책도 함께 반성했어야 좋았을 뻔했다.
한국은행이 비판을 받은 자료도 등장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과 공동 주최한 세미나에서 내놓은 ‘돌봄서비스 인력난 및 비용부담 완화 방안’이라는 자료다.
한국은행은 이 자료에서 돌봄서비스 부문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개인이 ‘사적인 계약’ 방식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내고 있었다. 최저임금보다 낮은 비용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그랬다가 “이주노동자의 노동을 최저임금보다 낮게 책정할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차별적이고 반인권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심각한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환경에 시달리고 있는 돌봄 노동자의 현실을 외면하고, 돌봄 노동의 가치를 폄훼하는 것”이라는 비판이다.
‘돌봄공공성확보와돌봄권실현을위한시민연대’가 한국은행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창용 총재의 사과를 요구하며 강하게 성토했다는 본지 보도다. 한국은행이 이런 자료를 낸 것 자체가 다소 이례적이라고 할만했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낮 동안 포근, 강원동해안·경북동해안 대기 건조… 낮 최고 서울 15도 강릉 17도 광주 16도 제주 14도
- 효성화학·효성첨단소재, ESG경영 노력 인정 받아
- LG유플러스, 오프라인 경험 확장
- CJ올리브영 신입 공채
- 롯데홈쇼핑, 시각장애 아동 위한 음성도서·기부금 전달
- 신한카드, 상생금융 활성화
- 삼성전자, '갤럭시 AI' 적용 모델 확대
- LG전자 "Z세대 눈으로 미래 그린다"
- LH, '층간소음 기술혁신 시험시설' 개관 추진
- 티몬 '티몬플레이' 재단장 성과는?
- 펭귄파스 제일파프, 편의점 이어 다이소 진출
- 넥슨 ‘더 파이널스’ 시즌2 대규모 업데이트
- 대신자산운용, 美 장기국채 투자 재간접펀드
- 우리은행 "함께 가입하면 우대금리"
- 교촌치킨, QSC 강화 앞장
- 풀무원, CDP 평가 물 경영 우수기업
- 코스피 상승세… 테슬라 10개월 만에 최저
- SPC삼립 롯데웰푸드 노스페이스 外(유통家 이모저모)
- 넥슨,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프리 알파 테스트
- 한미수필문학상 대상에 정진형 전공의
- 현대건설, CDP서 기후변화 명예의전당 수상
- KB Liiv M, '전기통신사업자 이용자 보호업무 평가' 우수
- 정연우 작가, 미래에셋증권과 아트세미나
- 새마을금고중앙회 'MG신뢰회복캠페인' 추진… 신뢰 회복
- 신한은행, 뉴진스 '트래블카드' 영상광고 온에어
- 웅진씽크빅 유데미 ‘프로젝트 캠프’ 실시
- 남녀노소 모두의 고민 '탈모', 의료제품 함부로 썼다간…
- 볼보자동차코리아, ‘패밀리 세이프티’ 캠페인 사업 기금 기부
- 전장연 "이형숙 대표 구속영장 기각은 '사필귀정''
- 민주당 "R&D 예산 삭감, 대전의 오늘내일 파괴"
- '음주 사망사고' 의협 주수호 "메신저 공격, 비겁한 일"
- '기후위기 해결할 국회를'[대학생·청년 기후유권자 행동 선포]
- 대학생기후행동 "2024 총선을 기후총선으로"
- CJ프레시웨이-한화로보틱스 업무협약 체결
- "의료개혁은 대국민 사기다"[무상의료운동본부 총선정책 요구안]
- 끝 안 보이는 전공의 파업, 지금 한국 의료에 필요한 건…
- 부산 찾은 한동훈 "초심 잃지 않고 최선 다해 정치할 것"
- 총선 앞둔 시민사회 "재생에너지 공공성 강화해야"
- [실적] 농심, 지난해 영업이익 2121억원
- '무독성·친환경·무해·환경보호' 표현, 믿을 수 있을까?
- 학생 줄어드는데 사교육비 역대 최대… "교육정책 전면 전환해야"
- 이찬원이 온다… '믿고 듣는' 가수 컴백
- [내일 날씨] 동해안 중심 대기 매우 건조, 산불 등 화재 주의… 맑지만 아침 기온 영하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