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선 건설산업연맹 요구 발표
불법 하도급 근절, 적정 공사비 확보 등

23일 오전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진행된 '건설산업 살리기·건설노동자 살리기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대책 촉구  21대 대선 요구 발표 기자회견.
23일 오전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진행된 '건설산업 살리기·건설노동자 살리기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대책 촉구 21대 대선 요구 발표 기자회견.

[뉴스클레임]

"이제는 바뀌어야 합니다. 건설노동자 생존권 보장 없이 건설산업 미래도 없습니다."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민주노총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이하 건설산업연맹)이 차기 정부가 해야 할 당면 4대 과제를 요구했다.

건설산업연맹은 23일 오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건설산업연맹이 제안한 4대 과제는 너무도 당연한 요구다. 이제 건설 산업을 살리고 건설 노동자를 살리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건설산업연맹이 요구한 4대 과제는 ▲100만호 공공임대주택 건설, 3기 신도시 조기 착공 ▲석유화학 플랜트 지역 고용안정 대책 ▲불법 하도급 근절, 적정 공사비 확보 ▲대통령 직속 건설노동자 특별위원회 설치 등이다. 

이들은 "2025년 1월 건설 산업 취업자 수는 132만명이다. 2024년 건설업 임금체불은 4780억원이다. 건설노동자는 하루하루 살아내기가 너무나도 버겁다"며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와 윤석열 정권의 실질적인 분양가 상한제 폐지로 인해 급격히 상승한 공사비,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경기 불황의 악순환이 이어져 건설경기는 몇 년간 최악의 상황에 처해져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부진한 건설경기를 살린다고 발표한 정부 정책은 금융정책일 뿐이고, 건설노동자에게는 전직을 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어불성설의 대책만을 내놓았다. 여기에 더해 12·3 계엄 사태로 환율을 급등하게 만들어 건설 산업과 건설노동자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도 경제적인 피해를 심각하게 입혔다"고 주장했다.

건설산업연맹은 "건설 현장에서 청년들이 떠나고 다시 돌아오지 않고 있다. 여성 건설노동자들이 건설 현장에서 제일 먼저 쫓겨나고, 다시는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국제정세와 기후 위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대한민국 석유화학 산업은 불황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면서 "이제 건설 산업을 살리고 건설 노동자를 살리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7공화국을 여는 차기 대통령은 안전하게 일하고, 청년이 일하고 싶고, 건설 노동자가 사람답게 대접받는 건설 현장을 만들어야 할 책무가 있다"며 "건설 현장에서는 무엇이든 공정하게, 누구나 공평하게, 모두가 다 같이 공존하는 건설 현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