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정치판에서 또 ‘개싸움’이다. 이번에는 ‘풍산개’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서 선물로 받아 키우던 풍산개 2마리 ‘곰이’와 ‘송강이’를 정부에 반환하겠다고 밝히면서 설전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퇴임하면서 이 2마리와 그 새끼 중에서 ‘다운이’까지 3마리를 경남 양산 사저로 데리고 왔는데, ‘다운이’를 제외한 2마리를 반환하겠다고 한다.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월 250만 원으로 알려진 ‘사육비’를 꼬집고 나섰다. ”퇴임 이후 본인이 키우는 강아지 사육비까지 국민 혈세로 충당해야겠나”며 “겉으로는 SNS에 반려동물 사진을 올리면서 관심을 끌더니 속으로는 사료값이 아까웠나. 참으로 좀스럽고 민망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양금희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있었다. “생명이 있는 동물을 대통령기록물로서 반환하겠다니 그야말로 반려견을 물건 취급하는 것인지, ‘250만 원 사료비’ 세금이 적절한지 많은 국민이 의아함과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성남시장 시절 이재명 대표도 반려견 ‘행복이’를 입양했다가 임기가 끝나자마자 파양했다”며 더불어민주당을 겨냥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상임고문인 홍준표 대구시장도 거들고 나섰다. “개 3마리를 김정은 보듯 애지중지하더니 사료값 등 나라가 관리비 안 준다고 못 키우겠다고 반납하려 한다”며 “개 3마리도 건사하지 못하면서 어떻게 대한민국을 5년이나 통치했는지” 비꼬았다.
문 대통령 비서실은 ‘입장문’을 내고 “윤석열 정부가 대통령기록관으로부터 위탁받아 관리하던 풍산개에 대한 근거 규정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하고도 대통령실의 이의 제기로 국무회의에 상정되지 못했다”고 반환 이유를 밝혔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마치 돈 때문인 듯 모욕적으로 뒤집어씌우는 것은 대체 무슨 경우인가” 반박, “사료값 운운하면서 비아냥대는 것은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이 자신들의 치사함을 가려보려는 꼼수”라고 받아쳤다.
정청래 의원은 “풍산개가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으로부터 받은 선물이기 때문에 국가에 반납, 대통령 기록관실에 가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도 “개인 소유가 아니라 윤석열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맡아 키워 달라’고 했다”고 밝히고 있었다.
‘개싸움’은 예전에도 있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표 시절에 애완견 진돗개가 낳은 강아지 7마리를 ‘미니홈피’를 통해 분양하겠다고 하자, 열린우리당이 “한나라당은 진돗개 정당”이라고 비아냥거린 것이다. “한나라당은 진돗개를 팔고 그 이미지로 사는 정당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고도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때는 사저에서 기르던 진돗개가 낳은 새끼 가운데 한 마리인 ‘노들이’를 전북 익산시가 분양받았는데, ‘호화판 개 관사’라는 빈축을 사기도 했다. 시 예산 198만 원을 들여 청사 옆에 널찍한 개집을 짓고 바닥에 황토까지 깔아줬다는 것이다. 개집의 지붕을 청와대의 ‘푸른색’으로 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말이 많아지자 결국 개집을 다른 곳으로 옮기고 있었다.
사람이 미우면 개까지 싫어지는지 개싸움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사사건건 싸움질인 정치판에서 개라고 예외는 아닌 모양이다. 권 의원의 표현을 인용하면, ‘좀스러운 싸움’이 아닐 수 없다.
주요기사
- 홈앤쇼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수상
- [ESG ON] 한국P&G 오비맥주 bhc치킨 外
- KGC인삼공사, 특허청 ‘색채상표권’ 등록
- 오뚜기, 진라면 모델로 방탄소년단 '진' 발탁
- CJ ENM 사피엔스 스튜디오, 부산엑스포 디지털 콘텐츠 제작
- [안보면 손해!] 대상 종가 롯데호텔 이랜드월드 外
-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4 메종 마르지엘라 에디션’
- 현대자동차, 예술가 창작 활동 지원
- 넥슨X롯데월드, ‘카트라이더 레이싱 월드’ 오픈
- LG유플러스, '조직 개편·인재 영입' 단행
- CJ피드앤케어, 베트남서 가축분뇨 재활용 친환경 비료 생산
- 신한카드, 'DX서비스어워드' 월드 그랑프리 수상
- JW중외제약,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가입
- “소모적 싸움 계속? 체인스토어협회가 산별교섭에 나서야”[생생발언]
- 매번 ‘희생’ 강요당하는 마트노동자[생생발언]
- “절망감 느낀다, 주권자 목소리 들어라”[8대 민생·개혁입법과제 촉구]
- “생활임금 보장, 무리한 요구인가요?”[생생발언]
-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美 헤리티지재단 회장 환담
- “당사자 요구 반영 無… 1만7500원 인상 촉구”[장애인활동지원수가 현실화]
-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 디지털 휴먼 개발 노하우 공유
- 엔씨 아이온 클래식, ‘REVENANT’ 업데이트
- 신한은행, 캥거루 채권 4억달러 발행
- KB국민은행, 캄보디아 ‘KB스마트론’ 1000만달러 돌파
- 스토브인디 ‘영웅전설 제로의 궤적’
- “배송노동자 괴롭히는 과도한 중량물 제한해야”[영상]
- “식량주권 확보와 상반… 친환경먹거리 사업예산 복원”[영상]
- 한국와이퍼 노동자 ‘위장청산 철회 요구’ 단식… 류호정 “작은 힘이라도”[영상]
- “현대 갈등 만든 윤석열 정부가 ‘평등’의 걸림돌”[영상]
- “대한민국에 구조적 성차별이 없다?”[생생발언]
- “대구·부산 등에선 성평등 정책 후퇴 시작”[생생발언]
- “‘여성가족부 폐지’ 정부조직법 개정안 막아낼 것”[영상]
- ‘성 불평등’에 목소리 못 내는 여성장애인[생생발언]
- 한국타이어, ‘세팡 12시 내구레이스’ 타이어 독점 공급
- ‘성평등 정책 강화’ 전국행동 출범한 이유는[생생발언]
- 대웅제약, 한국PR대상 국제 PR 부문 최우수상
- 김은혜의 억울함?[클레임만평]
- “쌀 최저가격제 도입 등 양곡관리법 전면 개정을”[생생발언]
- “정부가 ‘민생예산 확충’ 동의하지 않으면…”[생생발언]
- “신규 석탄발전소 철회, 탈석탄법 제정”[생생발언]
- “평등 기반 없이는 자유도 민주주의도 없다”[생생발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