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레드 퀸 효과’라는 게 있다.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지은 루이스 캐럴(1832~1898)이 속편으로 내놓은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나오는 이야기다.
‘네이버 지식백과’를 옮기면 다음과 같다.
“주인공인 앨리스는 여왕 ‘레드 퀸’의 손을 잡고 숲속으로 달려간다. 그러나 앨리스는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할 것 같은 기분을 느끼고, 그 이유를 여왕에게 묻는다.
그러자 여왕은 이렇게 말한다. ‘제자리에 머물기 위해서는 온 힘을 다해 뛰어야 한다. 만약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최소한 두 배는 빨라야 한다.’
여왕이 내세운 가설을 생물학자들이 공진화 이론으로 체계화했고, 그 결과 ‘레드 퀸 효과’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자기 스스로는 열심히 달리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주위에서 더 빨리 달린다면 그 결과는 뻔할 수밖에 없다. 낙오하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곧 만날 것이라는 소식에 ‘검색’해보는 ‘레드 퀸 효과’다. 윤 대통령은 이 대표와의 통화에서 “일단 만나서 소통을 시작하고, 앞으로는 자주 만나 차도 마시고 식사도 하고 또 통화도 하면서 국정을 논의하자”고 했다고 한다. 여야 영수회담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동안 윤 대통령은 이 대표가 ‘형사 피고인’이라는 이유 등으로 만나지 않아 왔다고 했다. 야당을 ‘국정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으면서 여야는 사사건건 대립이었다.
민생은 그 바람에 곯아야 했다. 말로만 민생이었다. 윤 대통령은 가장 최근인 16일 국무회의에서 “국정의 최우선은 첫째도 민생, 둘째도 민생, 셋째도 민생”이라고 강조하고 있었다. 언젠가 국민이 들어봤던 말을 또 꺼내고 있었다.
고달파진 민생은 결국 정권을 ‘표’로 심판했다. 여당은 4·10총선에서 참패해야 했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폭락이었다. 최근 한국갤럽 조사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은 ‘레임덕’ 수준인 23%까지 추락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윤 대통령의 지지층은 가정주부와 무직, 은퇴층으로 좁혀졌다”고 비하성으로 꼬집을 정도로 민심을 잃었다.
우려의 목소리가 간단치 않았다. 국민의힘 원로들은 총선 참패의 원인을 “윤 대통령의 불통과 당의 무능에 대한 국민적 심판”이라고 지적하고 있었다. “의정 갈등에서 나타난 윤 대통령의 독선적 모습이 막판 표심에 나쁜 영향을 준 것”이라고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비공개 사과’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윤 대통령이 이제라도 이 대표와의 만남을 제안한 것은 그나마 바람직했다. 스스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여기까지 오는 데 무려 2년이나 걸렸다. 너무 늦은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윤 대통령은 지금부터라도 ‘초고속’으로 변할 필요가 있다. ‘레드 퀸 효과’처럼, ‘저속도’로 변화하면 제자리걸음처럼 보일 수 있다. 레드 퀸 여왕이 앨리스에게 해준 말처럼, ‘지금보다 최소한 두 배는 빠르게’ 변해야 국민도 받아들일 것이다. 그래야 민생도 나아질 수 있다.
이미 2년이 지났지만, 윤 대통령에게는 아직도 3년이 더 있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우산 챙기세요"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 비… 아침 최저기온 11~15도, 낮 최고 15~25도
- 하나은행, 찾아가는 어린이 경제 뮤지컬 실시
- 경북 칠곡군서 규모 2.6 지진 발생… "피해신고 없어"
- 신한카드-싱가포르 관광청, 전략적 제휴 체결
- 한화그룹, 울진에 11번째 ‘태양의 숲’ 조성
- 현대자동차그룹, 태양광 발전 전력구매계약 체결
- 배민 "세상에 없던 특별한 장보기"
- LG유플러스-퀄컴, ‘기지국 지능형 컨트롤러’ 검증 성공
- 삼성전자, 2024년형 스마트모니터 라인업
- LH, 고성능 바닥구조 기술 발굴 공모 추진
- LG전자, 로봇 배송 서비스에 ‘LG 클로이 서브봇’ 공급
- 대웅제약 펙수클루, 中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임상 신청
- 풀무원푸드앤컬처-병무청, '나라사랑 가게' 협약 체결
- 대신증권, 고객 목소리 듣는다
- 故 이종호 JW그룹 명예회장 1주기 추모식
- CJ올리브네트웍스, ‘화이트햇 투게더’ 참가 기업 모집
- 서울사랑상품권 구매 수단에 ‘KB국민카드’ 추가
- 우리금융그룹, 2024 KPGA 챔피언십 개최
- 농심 백산수, 벨기에 ‘몽드 셀렉션’ 대상
- 인니로 간 정관장, ‘K-홍삼’ 알리기
- 코웨이 블루휠스, 홀트전국휠체어농구대회 2연패
- 미래에셋증권 "영업이익 시장 예상치 상회… 목표가 유지"
- HDC현대산업개발, 대구 범어 아이파크 계약 돌입
- 금호타이어, 美 JD파워 타이어 만족도 3위
-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中 서비스 시작
- KB금융그룹, 전 계열사 소등행사 동참
- GS건설 자이-이케아, 홈스타일링 컨설팅
- SPC 파리바게뜨 매일유업 롯데웰푸드 外(유통家 이모저모)
- 넷마블, '아스달 연대기' PC 사전 다운로드 시작
- 우리은행, 임직원과 온실가스 감축 실천
- 스마일게이트, ‘카오스 제로 나이트메어’ 커뮤니티 오픈
- 4월 지구의 날… 유통가가 지구를 지키는 방법
- "집단 진료 거부, 국민이 거부한다"[진료 정상화 촉구]
-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누적 1만명 돌파
- 이재명 "尹대통령 영수회담 제안 환영… 총선 민심 전할 것"
-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 청라국제도시로 확장 이전
- 현대제철, '나도 시민 과학자' 프로그램 시행
- [클레임 만평] 4월 22일자
- 이마트, 플라스틱 감축 캠페인 ‘가플지우’ 협약
- "의사·정부·국회에 촉구한다, 환자생명 살려라"
- 보건의료노동자·환자들 "정부-의사단체에 구상권 청구 방법 있는지 검토"
- KB국민은행, 서울대공원 환경정화 봉사
- 의사 집단 진료거부 사태… "우리의 안전은 안녕하십니까"
- 국힘 "의료계 자율 증원 방안 거부 안타까워"
- 법정 향한 이규식 서울장차연 대표… "선전전이 정말 불법인가"
- 세계군축행동의 날… 시민사회 "사람·지구 위해 군비 축소"
- 尹-李 영수회담 실무협상 무산… 민주당 "일방적 취소"
- [사설] 청년들 '중소기업 가느니 차라리 백수'
- 임영웅, BTS와 어깨 나란히 할까
- [내일 날씨] 전국 흐리고 비, 서울·인천·경기 등 5~20㎜… 아침 최저기온 7~13도, 낮 최고 15~24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