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픽사베이

 

[뉴스클레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흑묘백묘론을 또 강조했다.

경제를 살리는 데 이념이 무슨 소용이며, 민생을 살리는 데 색깔이 무슨 의미인가라고 지적한 것이다. 이 대표는 그러면서 진보정책이든, 보수정책이든 유용한 처방이라면 총동원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함께 잘사는 세상을 위해서 유용하다면 어떤 정책도 수용할 것이라고도 했다.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먹사니즘을 포함, 모두가 함께 잘사는 잘사니즘을 새 비전으로 삼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지난달 23일 기자회견에서도 검든 희든 쥐만 잘 잡으면 좋은 고양이 아니겠는가. 탈이념·탈진영 현실적 실용주의가 위기 극복과 성장 발전의 동력이라고 했다.

알다시피, ‘흑묘백묘론(黑貓白貓論)’은 중국 지도자 등소평(鄧小平)의 경제정책으로 유명해진 말이다. ‘인터넷 사전을 옮기면 1970년대 말 중국의 개혁과 개방을 주장하던 등소평이 펼친 경제정책.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고양이는 쥐만 잘 잡으면 되듯이, 자본주의든 공산주의든 상관없이 중국 인민을 잘살게 하면 그것이 제일이라는 정책이라고 되어 있다. 이 말을 이 대표가 종종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흑묘백묘론은 등소평의 독창적인 게 아니었다. 원래는 흑묘황묘론이었다. ‘검은 고양이 흰 고양이가 아니라, ‘검은 고양이 노랑 고양이였다는 것이다.

흑묘황묘론을 등소평의 전우인 유백승(劉伯承)이 작전계획을 짤 때 즐겨 써먹었는데, 등소평도 나중에 경제에 적용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 당시 실력자 주은래(周恩來)가 쓰촨성 지방의 격언인 흑묘황묘를 인용한 것을 등소평이 다시 인용했다는 설도 있다. 그러니까 흑묘백묘론의 원조는 따로 있었던 셈이다.

그런데, 등소평이 오늘날의 대한민국에서 이 흑묘백묘론을 주장한다면 어떨까.

우선 원조 논쟁에 휩싸일 수 있다. ‘남의 논리를 끌어다가 재탕한다는 공격을 받는 것이다. 그러면 흑묘백묘라는 논리 자체가 쑥 들어가 버릴 수도 있다.

고양이의 자격또는 자질을 따질 수도 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비대위 회의에서 검든 희든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길 수는 없다고 비판한 것이다. 권 위원장은 민생에는 아무런 관심도 없으면서 과거 중국 공산당이 내놓았던 흑묘백묘론까지 끄집어냈다고 꼬집고 있었다. 민주당 이원혁 부대변인은 국민의힘은 쥐 잡는 고양이도 국적을 따지나유치한 말장난이라고 반박하고 있었다.

대권 잠룡이라는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쥐가 사라지고 고양이만 남으면 무슨 의미가 있나쥐를 제대로 쫓아가서 잡아야 할 것이라고 이 대표를 경계하기도 했다.

이렇게 논쟁으로 시간을 잃으면 골든타임은 물 건너갈 수 있다. 그러면 흑묘백묘론은 제대로 펴보기도 전에 소멸될 것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내우외환이다. 안으로는 탄핵정국이고, 밖으로는 언론이 발작이라고 번역한 트럼프 탠트럼이다. 전 세계를 향해서 관세 폭탄을 내던지는 탠트럼이다. 흑묘백묘 다투다가 고양이 앞 쥐가 될 판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