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흑묘백묘론’을 또 강조했다.
“경제를 살리는 데 이념이 무슨 소용이며, 민생을 살리는 데 색깔이 무슨 의미인가”라고 지적한 것이다. 이 대표는 그러면서 “진보정책이든, 보수정책이든 유용한 처방이라면 총동원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함께 잘사는 세상을 위해서 유용하다면 어떤 정책도 수용할 것”이라고도 했다.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먹사니즘’을 포함, 모두가 함께 잘사는 ‘잘사니즘’을 새 비전으로 삼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지난달 23일 기자회견에서도 “검든 희든 쥐만 잘 잡으면 좋은 고양이 아니겠는가. 탈이념·탈진영 현실적 실용주의가 위기 극복과 성장 발전의 동력”이라고 했다.
알다시피, ‘흑묘백묘론(黑貓白貓論)’은 중국 지도자 등소평(鄧小平)의 경제정책으로 유명해진 말이다. ‘인터넷 사전’을 옮기면 “1970년대 말 중국의 개혁과 개방을 주장하던 등소평이 펼친 경제정책.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고양이는 쥐만 잘 잡으면 되듯이, 자본주의든 공산주의든 상관없이 중국 인민을 잘살게 하면 그것이 제일이라는 정책”이라고 되어 있다. 이 말을 이 대표가 종종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흑묘백묘론’은 등소평의 ‘독창적인 게 아니었다. 원래는 ‘흑묘황묘론’이었다. ‘검은 고양이 흰 고양이’가 아니라, ‘검은 고양이 노랑 고양이’였다는 것이다.
이 ‘흑묘황묘론’을 등소평의 전우인 유백승(劉伯承)이 작전계획을 짤 때 즐겨 써먹었는데, 등소평도 나중에 경제에 적용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또, 당시 실력자 주은래(周恩來)가 쓰촨성 지방의 격언인 ‘흑묘황묘’를 인용한 것을 등소평이 다시 인용했다는 설도 있다. 그러니까 흑묘백묘론의 ‘원조’는 따로 있었던 셈이다.
그런데, 등소평이 오늘날의 대한민국에서 이 ‘흑묘백묘론’을 주장한다면 어떨까.
우선 ‘원조 논쟁’에 휩싸일 수 있다. ‘남의 논리’를 끌어다가 ‘재탕’한다는 공격을 받는 것이다. 그러면 ‘흑묘백묘’라는 논리 자체가 쑥 들어가 버릴 수도 있다.
고양이의 ‘자격’ 또는 ‘자질’을 따질 수도 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비대위 회의에서 “검든 희든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길 수는 없다”고 비판한 것이다. 권 위원장은 “민생에는 아무런 관심도 없으면서 과거 중국 공산당이 내놓았던 흑묘백묘론까지 끄집어냈다”고 꼬집고 있었다. 민주당 이원혁 부대변인은 “국민의힘은 쥐 잡는 고양이도 국적을 따지나”며 “유치한 말장난”이라고 반박하고 있었다.
‘대권 잠룡’이라는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쥐가 사라지고 고양이만 남으면 무슨 의미가 있나”며 “쥐를 제대로 쫓아가서 잡아야 할 것”이라고 이 대표를 경계하기도 했다.
이렇게 논쟁으로 시간을 잃으면 ‘골든타임’은 물 건너갈 수 있다. 그러면 흑묘백묘론은 제대로 펴보기도 전에 소멸될 것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내우외환’이다. 안으로는 ‘탄핵정국’이고, 밖으로는 언론이 발작이라고 번역한 ‘트럼프 탠트럼’이다. 전 세계를 향해서 관세 폭탄을 내던지는 탠트럼이다. 흑묘백묘 다투다가 고양이 앞 쥐가 될 판이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한파특보 해제, 낮 최고기온 서울 6도 강릉 8도 전주 9도 제주 11도… 동해안·경남권 대기 매우 건조
- 하나은행, 스타트업 발굴·육성 프로그램 선발
- 삼성전자, 뉴스위크 '英 가장 신뢰받는 브랜드' 냉장고 1위
- CJ올리브영, 브랜드 로고 리뉴얼
- 미래에셋자산운용, ‘우리아이TDF 행복가족여행’ 진행
- LG유플러스, 'AI 악성 앱 분석 솔루션’ 도입
- 롯데건설, '의정부 롯데캐슬 나리벡시티' 부담↓
- 신한카드 "신학기 맞이 캐시백"
- "사장 아저씨가 응원해요"… LG전자, 입학 축하 선물 전달
- [실적] 남양유업, 지난해 영업손실 99억원
- 배민-기아대책, '나눔 문화 확산' 업무협약 체결
- KB국민은행, 맞춤형 노후 준비 솔루션 전달
- 대신경제연구소, '주주총회 현안 점검' 포럼
- 가장 쉬운 모임관리… 신한은행 'SOL모임통장 서비스'
- JW중외제약, '세계 빈혈 인식의 날' 캠페인 전개
- 현대백화점, AI로 맞춤형 마케팅 강화
- NH농협은행-지역신용보증재단,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 아메리카노 10잔 중 1잔은 '디카페인'
- 롯데칠성음료, 최초 연매출 4조원 돌파
- 대웅제약-디엔씨, 미용 의료 복합 시술 가이드 제시
- NS홈쇼핑, ‘세상 편한 집밥’ 70만 뷰 돌파
- 웅진씽크빅, 유아 맞춤형 한글 쓰기 콘텐츠 선봬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자산 30조 돌파
- 넥슨, '메이플 대학생 게임 커리어 캠프' 마무리
- 경동나비엔, '히트펌프'로 북미 시장 확대
- "대웅제약, 2025년 영업이익 +13% YoY 성장 전망"
- 우리은행, 은행사 박물관서 '어린이 금융교육' 운영
- SPC 해태제과 이랜드 外(유통家 이모저모)
- [실적] 동원F&B, 지난해 매출액 4조4836억원
- 다이닝브랜즈그룹,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
- 현대차그룹-SOAS, ‘현대차그룹 장학금 기부 계약’ 체결
- 교원단체, 대전 초등생 사고 애도… "철저한 조사 촉구"
- KB금융 경영진, 자사주 2만주 매입
- 민주당 "명태균 특검 불가피… 2월 안에 처리"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윤리적 기업문화 반드시 정착시켜야"
- "불쌍한데 내 교실도 도청?"… 대전 초등생 사건, 교사들 반응 '충격'
- [실적] 이마트, 지난해 영업익 2603억원
- [실적] 오리온, 2024년 영업이익 5436억원 달성
- 넷마블 메타버스엔터, 신규 버추얼 레이블·프로젝트 유닛 공개
- 대전 초등생 피살… 교육공무직본부 "사건 진상 소상히 밝혀야"
- 대전 초등생 아버지 "오늘 별이 됐다… 하늘아, 이쁜 별로 가"
- 스마일게이트, '아우터플레인' 신규 3성 캐릭터 업데이트
- 노점상도 먹고 살 권리 있다
- '모든 시민이 인권침해 피해자다'[인권위 집단진정]
- "반인권 내란옹호 인권위, 문 닫아라"
- 이재명 잘사니즘에… 국힘 "‘막사니즘’은 언제 들고 나오나"
- 마트노동자들 "윤석열·박준희에 일요일 빼앗겼다"
- 기업은행지부 "노동자에 인색한 국세청, 조세정의 외면말라"
- 코스피 사흘 만에 상승… 원·달러 환율 1452.6원
- [알쏭달쏭 우리말] 깨끗이, 깨끗히
- 역시 '트로트 여제'… 송가인, 아티스트 진가 발휘
- [내일 날씨] 전국 대체로 흐리고 새벽부터 비 또는 눈… 아침 최저기온 서울 0도 춘천 -3도 대구 -1도 부산 4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