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일본의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1945년 8월 6일, 그들은 자기 국민의 눈과 귀를 막는 데 바빴다. 수십만의 사상자를 냈는데도 발표는 짤막했다.
“히로시마가 소수의 B29기 공격으로 상당한 피해를 입었음. 적은 ‘신형폭탄’을 사용했으며 자세한 것은 목하 조사 중.”
이 원자폭탄의 위력을 본 세계는 기대감이 생겼다. 핵무기를 손에 넣으면, 약소국이라도 강대국과 맞설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이었다. 과학이 발전하면서 어지간하면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 같기도 했다.
그래서 생긴 정치학 용어가 ‘유닛 비토 시스템(Unit Veto System)’이다. ‘각개 거부권’이다. 핵무기만 가지고 있으면 국력이 뒤지더라도 강대국처럼 당당하게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학설이다.
그러나 강대국이 이를 허용할 리 없었다. 너도나도 ‘거부권’을 행사하게 될 경우, 강대국 중심의 국제질서가 무너질 게 뻔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략무기제한협정’이다, ‘국제원자력기구’다, ‘핵확산금지조약’이다 하면서 통제하려고 했다. ‘핵우산’을 씌워서 방어해주겠다고도 했다.
그래도 일부 국가는 핵개발에 나섰다. 남의 나라가 씌워주겠다는 핵우산을 믿을 수는 없었다.
며칠 전, 스웨덴의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내놓은 2024년도 연감에 따르면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북한, 이스라엘 등 9개국이 핵보유국으로 분류되고 있었다. 이들 국가의 핵탄두는 올해 1월 현재 1만2121기인데, 미국과 러시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했다.
북한도 50기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 사실이 알려지게 된 것은 1989년 프랑스 위성이 영변에 있는 핵시설을 촬영하면서였다고 한다. 그 사이에 50기를 확보한 것이다.
북한은 핵탄두를 공중에서 폭발시켜 살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험에 성공했다고 우리를 압박하기도 했다.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하면서 미국에서 우리나라의 핵무장 불가피론 또는 필요론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자체 핵무장을 당장 받아들일 수 없다면 미국이 1990년대에 철수했던 핵무기를 재배치하거나, 나토처럼 핵무기를 우리와도 공유해야 한다는 주장이 공개적으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도 핵을 개발했던 ‘과거사’가 있다. 박정희 대통령이 추진했던 핵무기 개발 상황을 알 수 있는 ‘설계도’가 2004년에 공개된 적 있었다. 전두환 군부가 핵을 포기하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북한보다 훨씬 빠르게 핵보유국에 이름을 올렸을 것이었다.
그런데 따져볼 게 있다. 옛 소련연방은 막강한 핵무기로 무장하고 있으면서도 해체되었다는 사실이다. 소련이 무너진 것은 경제, ‘빵’ 때문이었다는 사실이다. ‘핵 거부권’이 ‘식량 거부권’에 밀린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남북 관계를 ‘적대적 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비무장지대에 ‘장벽’을 설치하고 있다. 평양에 있던 ‘조국 통일 3대 헌장 기념탑’을 철거하고, 국가에서 ‘삼천리’라는 표현을 삭제했다고 한다.
그게 경제에 보탬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북한은 소련연방 해체의 ‘과거사’도 좀 헤아려볼 필요가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세계 식량 위기 경고도 간단치 않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대체로 맑고 곳곳 돌풍 동반 소나기… 낮 최고기온 서울 27도 강릉 28도 대구 29도 제주 26도
- '한화 3남' 김동선의 파이브가이즈 1년, 글로벌 TOP10’ 진입
- 미래에셋자산운용, '미국배당프리미엄펀드' 순자산 1000억원 돌파
- 고물가에도 유럽 여행엔 지갑 '활짝'
- 배달의민족-경기도 소상공인연합회, 경기 소재 업체 노무 컨설팅
- 지씨셀, ‘BIX 2024’ 참가… CGT 벨류 체인 소개
- LG유플러스, 생성형 AI '익시젠' 첫 선… 연내 8개 서비스 우선 적용
- LH, 3800억원 규모 해외채권 추가 발행
- 삼성전자, 업계 최초 'CXL 인프라' 구축
- "핸드볼 국가대표팀 항상 응원"… 신한금융그룹, 파리올림픽 출전에 격려금
- GS리테일-당진시, ‘고품질 쌀 확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 업무협약
- 유한킴벌리, '그린캠프' 참여 대학생 모집
- LG전자, 도전·낙관 DNA 담은 브랜드북 출간
- 엔씨소프트, 기업 분할 결정… 신설회사 2개 설립
- 신한은행-다날, 금융·결제 서비스 연계사업 업무협약
- 대신자산운용 "AI 생태계 ETF 출시 나흘만 완판"
- JW중외제약, ‘전립선암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 맥도날드 임직원, '푸르메소셜팜'서 정기 봉사 실시
- 롯데웰푸드, 전방 군부대서 '닥터자일리톨 버스가 간다’ 캠페인
- 하이트진로, 참이슬 보조라벨 활용 ‘위기가구 발굴’ 홍보
- 구수한 막걸리·인절미가 스타벅스에… 이색 특화 음료 보니
- KB국민카드-iM뱅크, 포괄적 업무제휴 협약 체결
- K-치킨 성지 등극한 ‘교촌필방’… 외국인 방문 80%
- 롯데쇼핑, ESG 성과∙정책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코웨이-케이웨더, ‘ESG 기후리스크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 부산 새마을금고, 민‧관협력 지역상생사업 성금 전달식
- 코스피 소폭 상승 출발… 엔비디아, 고점 대비 16% 하락
- SPC 배스킨라빈스 롯데GRS 동원F&B 外(유통家 이모저모)
- 스마일게이트, ‘기업 다양성’ 연구서 우수사례 선정… 국내 유일
- 볼보자동차, 스웨덴 감성 담은 캔들 '스우디시' 공개
- 한화시스템-방위사업청, AESA 레이다 최초양산 계약 체결
- HDC현대산업개발, 상반기 ESG평가 'A등급'
- 레인부츠·우산·제습제… 유통업계, 여름 장마 대비 '분주'
- 우리금융, 베트남 귀환 다문화 청소년에 장학금 수여
- 민주당, 화성 참사에 "철저한 진상조사·후속 대책 마련 촉구"
- 엔씨큐에이 대표이사 후보자로 김진섭 엔씨 QA센터장 내정
- 우리은행, 바우처 지원 금액 인상
- '22명 사망' 화성 아리셀 화재, 한국노총 "안전불감증이 낳은 인재"
- 학생 다툼 중재서 '사과 권고'했다가… 아동학대 혐의로 기소된 교사
- 한미약품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Best-in-Class’ 체중감소 효력 확인
- '돌봄 공공성 강화, 인력기준 개선'[16주년 요양보호사의 날]
- 누구나 만나게 될 필수노동자 '요양보호사'
- '노동자 권리 보장, 더 폭넓게!'[노조법 2·3조 개정안 통과 촉구]
- KB국민은행, 에스파와 함께한 'KB Liiv M’ 광고 공개
- "너무도 정당한 법개정안… 노조법 2·3조 개정안 즉각 통과"
- 김주남 롯데면세점 대표 "재도약 기반 마련, 비상 경영 체제 돌입"
- 넷마블 '블소', 신규 서버 '버닝월드' 추가
- "뉴라이트 김광동 쫓아내자"[과거사 공안기구 진화위 규탄]
- 진실화해위원회 앞 "역사 정의 외면 김광동·황인수 나가라"
- "간접고용 원청사용자성 인정 , 노조법 2조 2항 개정"
- 방송3법·방통위법 통과… 국힘 "절차·원칙 무시한 일방통행"
- 홈리스행동 "쫓겨나듯 떠난 이주가 '평온무사'?… 부당한 퇴거 막아야"
- 억울함 드러낸 김호중 "강경 대응"… 이유 왜?
- [내일 날씨] 정체전선 영향 제주도 많은 비, 곳곳 소나기… 아침 기온 15도 내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