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커
플리커

 

[뉴스클레임]  지난 2017, 이른바 사드 보복으로 중국 관광객이 뚝 끊어진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에 중국어 안내문이 붙었다.

이해합니다. 그래서 기다립니다(因爲理解 所以等待)”라고 했다.

중국 관광객이 넘칠 때는 당연히 중국어 안내문이었다. 할인행사도 온통 중국어 안내였다. 그 바람에 여기가 중국 백화점인가. 내국인은 무시하나는 비판이 나왔을 정도였다.

유통업체들은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상호까지 중국식으로 바꾸고 있었다. 당시 갤러리아백화점의 경우는 끄어르어리야'(格乐丽雅)’라는 중국식 상호를 썼다는 보도였다. 갤러리아와 발음이 비슷한데다, 고급스러운 백화점이라는 느낌을 줘서 중국 관광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했다.

그랬는데, 중국 관광객이 끊어지고 나서도 중국어 안내문이었다.

중국 관광객이 헷갈릴 수도 있을 것 같아서인지, ‘중국어 메뉴판을 점검하기도 했다. 그 결과, 서울시내 주요 관광지의 중국어 메뉴판 가운데 32.%에서 1개 이상의 심각한 오역이 발견되었다고 하기도 했다.

어떤 식당에서는 묵은지 삼겹찜할머니를 구운 고기로 표시되어 있다고 했다. ‘김치찌개맵고 기이한(辛奇) 음식이라고 되어 있다고 했다.

2016년 봄, 인천에서는 중국인 관광객들의 치맥 파티가 열리기도 했다. 4500명의 중국 관광객이 2시간 사이에 500캔맥주 4500개와 3000마리의 치킨을 즐기는 파티였다. 닭고기의 무게가 2.4t이나 되었고, 쌓인 닭뼈가 을 이룰 정도였다고 했다.

LG경제연구원은 유커의 경제학이라는 자료를 내기도 했다. 중국 관광객인 유커(遊客)의 생산유발효과가 연간 276647억 원에 달하고, 국내 취업유발효과는 194277명이나 된다고 분석하고 있었다.

이랬던 유커에 대한 기대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65개월 만에 한국 단체관광을 허용하면서 서울 명동에는 중국어 안내문이 재등장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어떤 화장품업체는 유리창 외벽에 중국어 가능한 3040세 사이의 직원 구함. 중국어·한국어 2개 국어 능통자 선호라는 직원 모집 공고도 붙였다는 보도다.

하지만, 따져볼 게 있다. 중국의 혐한 감정이다.

중국의 SNS인 웨이보에는 한국 가지 않겠다는 글이 많이 올라오고 있다고 한다. “한국인은 중국인에게 악의를 가지고 있다”, “한국 가면 냉대 받을 것”, “열성팬(追星女) 말고 누가 한국 여행을 갈 것인가등의 부정적인 글이라고 했다.

중국 소비자들의 애국 소비 열풍을 의미하는 궈차오(國潮)’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리식으로 국산품 애용풍조다.

이는 외신으로도 보도되고 있다. 얼마 전,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5년 전까지만 해도 외국 브랜드가 중국의 소비시장을 지배했지만, 이제는 다수의 중국 브랜드가 자국 온오프라인 쇼핑 시장에서 세를 급속히 불리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었다. 중국 제품의 가성비도 높아졌다는 얘기다. 과거처럼 대박은 기대하기 힘들 수도 있는 것이다.

빗장을 풀었다고, 중국 관광객이 우리나라로 몰려올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일본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아도 일본은 엔화 약세라는 강점도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