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과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코로나 19 ‘중국 책임론’을 주장했다. 보고서 등에 ‘Corona Virus’라고 적혀 있으면, 줄을 긋고 ‘Chinese’라고 고쳤을 정도다. ‘중국 바이러스’라고 우긴 것이다.
이렇게 중국 탓을 하면서도 미국은 중국에서 인공호흡기를 ‘긴급 수입’했다. 코로나 19 환자가 급증하자, 뉴욕주가 부족해진 인공호흡기 1만 7000대를 ‘대량 주문’한 것이다. 수입가격은 대당 2만 5000달러에 달했다. ‘중국산 마스크’는 싱가포르를 통해 ‘우회 수입’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취임하기 전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한 ‘폭탄 관세’를 예고했다.
그렇지만, 중국산 제품은 트럼프의 ‘취임식’에서부터 ‘필수품’이었다. ‘트럼프 로고와 깃발’을 중국에서 사들인 것이다. 어떤 중국 업체의 경우 ‘트럼프 깃발’을 한 개 65센트씩에 미국으로 수출했는데, 미국 시장에서는 1.5∼2.5달러에 팔렸다고 했다.
‘트럼프 깃발’뿐 아니라 ‘트럼프 배지’, ‘트럼프 모자’ 등 ‘트럼프 제품’이 미국으로 불티나게 수출되고 있었다. 트럼프는 ‘중국산 깃발이 펄럭이는 취임 축하’를 받은 셈이었다.
미국은 중국산 제품이 없으면 독립기념일이나 핼러윈 등 축제를 즐기기도 어렵다고 했다. 성조기부터 장식용 초, 폭죽 등이 모두 중국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기인 ‘성조기’만큼은 ‘미국산’을 쓰자는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연방정부가 미국에서 완전히 생산되고 제작된 성조기만 구매하도록 하는 법안’이다. 2017년의 경우, 미국은 자그마치 1000만 개의 성조기를 수입했는데 그 가운데 5만 개를 제외하면 모두 중국산이었다고 했다. 995만 개가 중국산이었다는 것이다.
이유는 쉽다. 가격이다. ‘미국산 성조기’의 생산가격이 ‘중국산 성조기’보다 저렴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두 나라의 인건비 차이만 봐도 알 수 있다. 성조기뿐 아니라, 모든 제품이 다 그렇다.
그런데, 조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산 전기자동차의 관세를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하는 등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올리라고 지시하고 있다. 오는 8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라는 소식이다.
명분은 ‘중국의 정책 주도형 과잉 생산으로부터의 미국 산업 보호’라고 했다. 하지만 ‘대선 경쟁자’인 트럼프를 의식한 조치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트럼프 역시 관세 인상을 선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바람에 골탕 먹는 것은 미국 소비자다. 값싼 중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이 그만큼 오를 수밖에 없다.
게다가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관세 대폭 인상이다. 그러면 미국의 서민들은 ‘겹치기 물가고’다.
바이든도, 트럼프도 자기 나라의 국민 피해보다 ‘표’가 우선인 듯했다. 마치 정치가 경제를 잡는 어떤 나라와 국회와 닮은꼴이 아닐 수 없다.
중국은 이에 맞서 ‘주저 없는 보복’을 선언하고 있다. ‘관세 전쟁’이 벌어지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는 “무역 갈등이 극에 달할 경우,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7%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일본과 독일의 GDP가 한꺼번에 사라지는 것과 맞먹는 규모의 손실이 우려된다는 경고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구름 많고 전남권·경남서부내륙 중심 안개… 아침 최저기온 12~19도, 낮 최고 23~28도
- SPC 파리바게뜨-대한체육회, ‘팀코리아’ 후원 협약 체결
- 어르신·장애인도 쉽게 '배달앱' 사용
- LG유플러스, AX 양계 솔루션 개발 완료
- 삼성전자, '중남미 테크세미나'서 'AI TV' 리더십 선봬
- E-GMP 출시 이후 전기차 택시 13배 늘어
- 신라면세점-환경재단 업무협약 체결
- 신한카드, 인스타그램도 업계 1위
- 롯데홈쇼핑, 왕산해수욕장서 '숨쉬는 바다 가꾸기' 전개
- 아모레퍼시픽공감재단, 청년 직무 멘토링 실시
- LG전자, 아시아 HVAC 시장 공략
- 한미사이언스 "가족 4인 합심, 상속세 해결할 것"
- 이랜드재단, 자립준비청년 지원 기관 성과 공유
- 웅진씽크빅,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속도
- "접속 대기 발생까지" 스타벅스-NCT 협업 화제
- 오비맥주 카스x한맥, ‘서울 재즈 페스티벌’ 공식 후원
- 포스텍 이현우·조길원 교수, 제33회 수당상 수상
- NH농협은행, 스타트업과 협력 초석
- BBQ, 복지시설·군장병에 치킨 기부
- 아워홈 '캘리스랩', 론칭 1년 만에 6호점 개점
- HDC현대산업개발, 청년 진로 탐색 직무 멘토링
- 현대리바트-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건축 기술 개발' 업무협약
- KB국민은행 "전세사기 문제 철저히 알아본다"
- 코스피 하락 출발… 미 증시, 국채 수익률 상승 부담에 ↓
- SPC삼립 롯데하이마트 전자랜드 外(유통家 이모저모)
- "대세는 숏핑"… CJ온스타일, '30초 커머스' 확장
- 박찬대 "尹 14번째 거부권, 총선 민심 정면으로 거역"
- [클레임 만평] 5월 30일자
- 아이스커피 속 얼음, 알고 보면 세균 득실?
- 우리은행, 비즈플라자 2차 상생 업무협약 체결
- 보건의료노조 "의대 증원 백지화 주장 옳지 않아"
- 넥슨 카스온라인, ‘GEN Z’ 업데이트
- 볼보코리아, '유키 구라모토 콘서트'에 장애 어린이 가족 초청
- 신한은행-더존비즈온, 테크핀레이팅스 공식 출범
- "차별 적용 아닌 확대 적용"[최저임금·생활임금 투쟁 선포]
-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최저임금 차별적용 저지"
- 한화 충청지역 봉사단, 순국선열·호국영령 넋 기려
- 밥상물가 줄인상… 대형마트는 "더 싸게 많이"
- 넷마블 '세븐나이츠 키우기, '비야 작가' 콜라보
- 22대 국회, 선언하라 '탈핵'[정의로운 기후위기 대응 촉구]
- 국힘 "'역대 최악' 오명 21대 국회… 이젠 국민 신뢰 찾아와야"
- 유한양행-엘레나, 미혼모 지원 키트 제작 봉사
- 22대 국회 첫날, 기후·탈핵·종교·시민사회 "탈핵 방향 명확히 해야"
- 민주노총 "22대 국회, 노동기본권 보장"
- [식사합시다] 부암동 계열사
- [식사합시다] Wildduck & Canteen
- [식사합시다] 풍림 스페이스본
- [식사합시다] 금호동 금남시장
- 그들이 또… 영탁·박지현 팬덤 '선한 영향력' 표본
- 금속노조 "2년 만에 거부권 14회… 尹 거부"
- [내일 날씨] 오전부터 맑아져 낮 기온 올라, 서울 26도 대전 27도 제주 23도… 곳곳 가끔 비
- SK 최태원 회장 측 "재판 결론 지나치게 편파적… 상고로 바로잡을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