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픽사베이

 

[뉴스클레임]  한강의 ‘세빛섬’이 ‘세빛둥둥섬’이라는 이름으로 개장했던 2011년, 첫 공식행사는 명품 브랜드를 선보이는 ‘모피쇼’였다.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호화판 모피제품’을 선보이는 행사라고 했었다.

서울시는 당초 ‘인공섬’인 ‘세빛둥둥섬’을 만드는 이유를 시민들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수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었다. 그랬는데 첫 행사가 명품 쇼였다.

‘명품이라는 것’에 거리감을 느끼는 소시민들은 그 바람에 한강이 아득해지고 있었다. 동물보호단체는 서울시를 성토하고 있었다.

그랬던 한강에서 또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의 패션쇼가 열리고 있었다. 지난달 말 열렸다는 ‘프리폴 패션쇼’다. 잠수교에서 패션쇼가 열렸고, 세빛섬에서 ‘게스트 환담 파티’가 이어졌다고 한다.

그런데 그 보안이 ‘철통’이었다. 보도에 따르면, 루이비통은 세빛섬을 통째로 빌렸는데 반포한강공원 일대에서부터 입장을 통제하는 등 ‘철통보안시스템’을 가동하고 있었다. 잠수교 일대에서는 차량, 자전거, 도보, 이륜차의 통행이 통제되었다고 했다. 반포한강공원 일대에는 검은색 철제 펜스가 설치되고 있었다.

이날 행사는 서울시와 한국관광공사가 2023~2024 한국 방문의 해를 맞아 루이비통과 손잡고 열린 것으로 전 세계에 생중계되었다고 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세빛섬이 전 세계 유명인으로 북적이는 모습을 보니 감개무량하다”고 밝혔다는 보도다.

오 시장은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접근성’을 강조한 바 있다. 한강 배후지역 어디에서나 도보로 10분 이내에 한강공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500m 간격으로 접근시설을 확충하겠다고 했었다.

그러나 루이비통의 패션쇼는 예외인 모양이었다. 철제 펜스까지 설치하면서 차단했다는 게 그랬다.

‘명품이라는 것’에 거리감을 느끼는 소시민들은 한강이 또 아득해지고 있었을 것이다. 패션쇼는 소시민과는 관계없는 행사였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는 한강의 모습을 뒤바꿀 전망이라고 했다. 상암동 하늘공원에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관람차 ‘서울링(Seoul Ring)’이 생긴다고 했다. 한강 위를 걷는 수상산책로와, 공중 이동이 가능한 곤돌라 등을 운영한다고 했다.

항만시설인 마리나(marina)라는 것도 여러 곳에 조성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강변 야간경관 가이드라인 및 마스터플랜’으로 야간경관 특화명소를 발굴하고, 한강교량 경관조명도 개선하기로 했다는 발표였다. 노들섬은 ‘365일 음악과 예술이 흐르는 예술섬’으로 단장할 것이라고도 했다.

오 시장은 서울을 ‘매력 특별시’로 격상시키겠다고 했다. 계획대로 된다면, 오 시장은 대단한 ‘치적’을 남길 것이다.

그렇지만, 시민들은 ‘그레이트 한강’을 즐길 여력이 많지 않다. 서울시가 작년에 조사해서 며칠 전 공개한 ‘먹거리 통계조사’만 봐도 짐작할 수 있다. 서울 시민의 식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10점 만점에 6.95점에서 6.85점으로 낮아졌다는 조사였다. 치솟은 물가 탓인지, '의식주‘ 가운데 가장 중요한 ’식‘이 껄끄러워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용하는데 들어갈 ‘비용’이 간단치 않을 그레이트 한강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