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커
플리커

 

[뉴스클레임]  과거 노무현 정부 때는 입맛에 맞지 않는 언론 보도를 소설이라고 했다.

청와대 홍보수석이 언론 보도를 소설이라고 깎아내리는 글을 올렸고, 노무현 대통령은 그 글에 잘했다고 격려하는 댓글을 붙이기도 했다. 노 대통령은 기자들이 기자실에서 담합을 하고 보도자료를 가공하고 있다고 폄하하기도 했다.

소설이 몇 해 전부터 가짜뉴스로 바뀌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짜뉴스라는 말을 애용하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정직한 언론이 가짜뉴스를 생산하고 있다며 언론 탓을 했다. “많은 것을 성취했는데도 언론이 깔아뭉개고 있다고 불만을 털어놓기도 했다. 자신이 언론의 목을 조르는 영상을 올린 적도 있었다.

해외순방을 마치고 귀국했을 때는 몇 달 동안 시청하지 않았던 CNN을 어쩔 수 없이 봤는데 얼마나 나쁘고 가짜인지 다시 깨닫게 됐다고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다.

가짜뉴스라는 용어가 태평양을 건너와서 우리도 사용하고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생각이 다른 사람들 간의 증오와 혐오, 너무나 빠르게 확산되는 가짜뉴스와 허위정보가 공정한 언론을 해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청와대는 김정숙 여사가 일본산 마스크를 쓰고 있다는 루머와 관련, “명백한 가짜뉴스라고 발끈하기도 했다.

윤석열 정부도 가짜뉴스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청담동 심야 술자리의혹 제기와 관련, “그런 저급하고 유치한 가짜뉴스 선동은 국민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가짜뉴스 퇴치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있었다. 그 태스크포스 안에 가짜뉴스 신속 대응 자문단을 설치, 4일부터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히고 있다. 과학과 미디어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이라고 했다.

이랬던 가짜뉴스라는 표현이 괴담으로 바뀌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용산 어린이정원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자, 국민의힘은 괴담 유포를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민주당을 괴담유포당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괴담이라는 말이 가짜뉴스를 밀어내고 마치 대세가 되고 있는 모양새다.

광우병 괴담’, ‘사드 괴담’, ‘천안함 괴담오염수 괴담등이다. ‘괴담 정치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괴담이 넘칠 정도다.

다르고 다르다고 했다. ‘괴담이라는 말은 아무래도 가짜뉴스보다 강한 표현일 수밖에 없다. 상대방의 주장이나 문제 제기를 괴담이라고 몰아붙이면 더 이상의 대화는 이다. ‘소통은 아예 단절되고 비난과 비방 따위만 남게 될 것이다.

지난 2017년 현대경제연구원은 가짜뉴스의 경제적 비용 추정과 시사점에서 가짜뉴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연간 30900억 원이나 된다고 분석했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2% 수준에 달하는 것이라고 했다.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를 가짜뉴스가 축내고 있는 것이다.

가짜뉴스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듯싶은 괴담의 사회적 비용은 얼마나 될 것인지.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